직업으로서의 정치·직업으로서의 학문 현대지성 클래식 57
막스 베버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는다면 정치를 하는 사람과 학문을 하는 사람이 가져야할 직업 정신을 배울수 있다. 100년이나 된 고전이긴 하지만 많은 도움이 되는 책임에 틀림없다.

더우기 강연을 주제로 엮어놓은 책이라 생생하게 들리는 느낌도 들었다. 


정치가는 정치에 의해 사는 사람이 있는반면 정치를 위해 사는 사람으로 구분된다 할수 있다. 정치를 직업으로 삼아 생계를 유지하느냐 아니면 정치를 즐기느냐에 차이가 있다.

막스베버는 부를 위한 정치를 하지 않을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꼭 부를 추구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예나 지금이나 정당정치에 대해서 안좋은 시선들이 있다. 오로지 정당의 승리에만 집착을 하게 만드는 제도가 정치를 더럽게 만드는거 같다.


베버는 정치가의 주요 자질로써 열정, 책임감 그리고 균형감각의 3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주의해야할 2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객관성의 결여와 무책임이다. 지금 우리의 정치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는지 의심이 드는 대목이다.

우리정치를 보면 한숨만 나오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직업으로서의 학문또한 강연한것을 엮으것이다. 여기에서도 열정을 중요한 가치로 제시하고 있다. 열정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것만이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무엇이든 열정을 가지고 끈기있게 그리고 책임감 있게 생활해야 함을 또 한번 깨우치게 되는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