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 - 내 발목을 잡는 가족에게서 벗어나 죄책감과 수치심에 맞서는 심리학
셰리 캠벨 지음, 제효영 옮김 / 심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로운 사람과의 관계, 그것이 가족이라 해도 단절할 수 있다는 말은 요즘 들어 책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조언입니다. 하지만 아마 이 책의 저자가 자신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며 도움을 받고자 했을 무렵엔 그렇지 않았나 봅니다. 그럼에도 책의 저자는 자신을 잘 돌보기 위해 가족과의 단절을 선택했고 또 그것이 꼭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말합니다. 


<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의 저자 셰리 캠벨은 외국 영화를 볼 때 등장하곤 하는 여러 문제들을 합친 듯한 가정 환경에서 자랐습니다. 부모님의 잦은 결혼과 이혼 및 연애, 예고 없는 오랜 기간의 부재, 극적인 사건과 갈등, 왜곡된 신앙, 한 아이를 희생자 삼는 가족 환경 등 저자가 '학대'라고 표현하는 여러 조건들 속에 살아가면서 저자는 자신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적응 패턴을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책은 그런 환경에 살았던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고민하며 이 문제에 대해 오랜 시간 연구하면서 알게 된 사실들을 기록한 것입니다. 저자는 책을 통해 해로운 사람 -가족의 특성, 해로운 가족 안에서 성장한 이들이 경험하는 여러 심리적 문제나 증상들, 스스로를 회복하도록 돕는 다양한 방법들과 함께 관계 단절 이후에 일어날 일들에 대해 대처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저자가 말하듯 이 책은 저자의 경험이 여실히 반영된 내용이었습니다. 저자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가 그리 많이 기록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얼마나 괴롭고 힘든 시간을 보냈을지 조금이나마 짐작해볼 수 있었고, 오랜 시간 자신을 들여다보며 마주하는 시간을 보냈을거란 사실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온전하게 산다는 건 

자신의 좋은 점 뿐만 아니라 

힘들고, 슬프고, 터무니없는 면과 두렵고 화가 나는 면까지 

전부 알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좋은 점과 나쁜 점, 억울한 마음과 감사하는 마음, 망가진 부분과 치유된 부분, 

예쁜 면과 못난 면, 사랑과 고통이 모두 있어야 진정한 온전함이 된다. (p.167)


저자는 해로운 가족과 단절하는 것의 목표가 가족에게 해를 입히거나, 상처를 주거나, 화를 돋우려는 의도로 내리는 결정이 아닌, 자신을 보호하고 해방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단절 이후 내면의 허전함은 저절로 채워지는 것이 아니며, 거기에서 오는 상실감이나 애도의 시간 또한 필요합니다. 인내가 필요하고 이전에 없던 과제도 부여되구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전한 한 사람'으로 살아가는 기쁨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상처받고 흉터가 남은 채로 산다고 해도 그 짐을 지고 계속 살아가면 된다구요. 

지금의 가족과 단절이 필요한지는 각자의 상황에 따라 따를 것입니다. 다만 책에서 소개하는 여러 증상들이 자신의 삶에서 나타난다면, 전문적인 상담사의 도움을 받으면서 책을 참고하여 자신이 양육된 환경을 돌아보며 그 원인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지금까지처럼 모든 것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거나 가족의 탓으로 돌리기 위한 것이 아닌, 나를 더 이해하고 지금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말입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 받았으며, 내용에 대한 요구 없이 저의 견해가 담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