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셉션 마케팅 - 아는 것을 팔리는 것으로 바꾸는 기술
혼다 데쓰야 지음, 이은혜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동이 변하기 위해서는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는 사실은 개개인의 사람뿐 아니라 마케팅에도 적용되나 봅니다.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별로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던 이유는 '수많은 사람의 생각을 바꾼다는 게 전략을 세운다고 해서 가능한 일일까?' 하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퍼셉션 마케팅>이 궁금했습니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 하구요.


'인식, 지각'이라는 뜻을 가진 '퍼셉션(perception)'이 마케팅에서 쓰일 때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사건이나 사물을 어떤 식으로 보고, 어떤 식으로 받아들이는지'를 의미합니다(p.25). 쉽게 말해 '우리 회사는 고객들의 눈에 어떻게 보이는가'에 대한 것이죠. <퍼셉션 마케팅>의 저자이자 일본을 대표하는 PR 전문가이면서 PR 전문지 <PR WEEK>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PR 전문가 300명에 선정된 혼다 데쓰야는, 트렌드의 발생, 변화, 쇠퇴에 이르는 전 과정에 항상 퍼셉션의 변화가 숨어있다고 합니다. 더군다나 요즘 시대와 같이 정보가 범람하는 상황이라면 인지도를 높이는 것 이상의 전략, 즉 '생각을 바꾸기 위한' 정보가 필요하다구요. 퍼셉션 마케팅의 이해를 위해 가장 먼저 제시된 'P&G의 세제 아리엘' 케이스는 퍼셉션 마케팅의 개념과 중요성을 단번에 이해하게 했습니다. 당시에 일본의 분말 세제 시장에는 '좋은 세제 = 적게 써도 때가 잘 빠지는 세제'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어서 카오라는 기업의 '어택'이 압도적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었는데, P&G는 당시 일본인들의 생활습관을 중심으로 세균 이동 경로 모델을 제시하고, 위생 전문가와 함께 실험을 해서 '일반적인 세탁 방법으로는 세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는 퍼셉션을 형성했고, 이것이 언론에 보도가 되면서 '좋은 세제 = 세균 제거 효과가 있는 세제'로 바뀌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퍼셉션 마케팅>에는 퍼셉션 마케팅을 이해할 수 있는 사례를 곁들인 퍼셉션의 개념부터 중요성, '퍼셉션 만들기, 바꾸기, 지키기, 파악하기, 활용하기'의 퍼셉션을 활용하는 다섯 단계의 방법, 그리고 퍼셉션의 영향력까지, 퍼셉션 마케팅의 시작부터 끝을 아우르는 전과정에 대한 이론과 케이스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책 속 여러 기업들의 퍼셉션 생성- 변화-유지 사례는 흥미진진하며, 우리 주변에 비슷한 케이스를 가진 여러 기업들도 떠오릅니다. 더불어 1인 기업이나 창업가 뿐만 아니라 대기업 역시 '살아남는 것'에 대한 고민에서 예외는 아닐 수도 있겠구나, 생각도 했습니다.


저자가 이야기하듯 고객의 퍼셉션을 조사하는 데에는 방법이 있지만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퍼셉션 마케팅의 가장 큰 의미가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에 있듯, '소비자'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기업인의 눈에는 결국 고객의 인식이 눈에 띄지 않을까요. 소비자의 한 사람으로서 '제품' 혹은 '기업'에 있던 초점이 '소비자'로 옮겨지는 현상은 반가운 동시에, 소비자인 대중의 가치관이 조금 더 옳은 방향으로 발전되어 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느끼게 됩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 받았으며, 내용에 대한 요구 없이 저의 견해가 담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