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문학3 1호 - 2017년 1호, 창간호
문학3 기획위원회 지음 / 창비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3>은 누가 봐도 문학잡지임을 알 수 있는 명확한 제목이자, 숫자 3의 정체가 다소 어색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문학3>의 3은 문학지이면서 문학웹, 그리고 문학몹의 형태로 <문학3>이 보여줄 모습이면서 연간 발행 횟수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단순히 오프라인 문학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상에서도 활발하게 문학을 공유하며, 독자와의 만남을 비롯한 모든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문학3>의 목표인 것이다. 어쩌면 문학이 '사치'로 다가올지 모르는 팍팍한 세대에 문학은 여유 있거나 고상한 자들이 향유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실생활 속에서 찾을 수 있고 만들어 갈 수 있는 것이 바로 문학임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이러한 시도들은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매우 반가운 일이고, 감상하는 문학을 넘어서서 '실행' 또는 '실천' 가능한 어떠한 형태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된다.


<문학3>은 크게 주목, 시, 소설, 현장, 시선으로 나누어져 있다. '주목'은 <문학3>이 추구하는 문학의 공공성, 현장성, 실험성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을 담은 글인 것으로 보인다. 에세이 같기도 하고, 논설 같기도 하고, 또 소설의 형태로 이야기를 풀어가는데 <문학3>의 커버에서 받았던 인상처럼 딱딱한 느낌이 없지 않았다. 문학을 더 많은 이들과 함께 하고 싶어 하는 목표와는 거꾸로, 다소 어렵고 진지한 이야기들이라 도입으로 넘어서기에는 조금의 용기와 시간이 더 필요했다.


'시'와 '소설에서는 현재 활동하는 한국 작가들의 시 5편과 단편소설 5편을 담았다. 그리고 '중계'라는 이름으로 각각에 대한 독자들의 대담이 실려있다.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5편의 시와 소설을 비평가, 뮤지션, 녹색당원, 영화감독 등이 모여서 감상과 각자의 의견을 나눈다. 어떤 작품이 나오고 그 후에 그에 대해 대담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작품 소개와 동시에 해설같이 대담이 소개되는 시도는 매우 신선했다. 특히, 여러 방면으로 해석될 수도, 해석이 되지 않을 수도 있는 현대시 5편은 나와 같은, 혹은 다른, 혹은 전혀 새로운 숨은 의미들을 대담 속에서 찾아보는 재미도 있었다. 하지만 모두 문학에 대한 전문가들은 아니기 때문에 어쩌면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들이 많았다. 문학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해석 또는 감상에 대한 비전문가들의 의견을 오프라인으로 출간한다는 것은 쉬운 결정은 아니었을 것이다. 다만, 독자들이 문학작품을 좀 더 친근하게 느끼게끔, 다양한 이해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 출판사의 의도는 존중받을 만하다고 본다. 장르의 차이이겠지만, 일반 단편보다도 더 짤막한 형태의 단편소설 5편은 짧은 만큼 아쉬운 점도 있고 강렬한 여운도 있었다. 성석제 작가의 <고마워요>와 임솔아 작가의 <병원>은 읽은 후로도 계속이 잔상이 남는 느낌이었다. 개인적으로는 '시' 중계보다 '소설' 중계가 좀 더 흥미로웠는데, 시 중계보다는 덜 무거운 느낌이 들어서 더 그랬던 것 같다. 발표되지 않은 시 또는 소설을 읽고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중계'에 참여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나는 어떤 이야기를 했을까? 혼자 읽을 때와 여럿이 함께 읽을 때 다른 감상과 평들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신선하고 또 문학을 좀 더 live 하게 만드는 것 같다.


몇 안 되지만 그간 봐 온 문학잡지들-<계간 문학동네>, <악스트>, <미스테리아>, <릿터>-에서도 느꼈던 부분 중에 하나는 문학잡지의 서평 또는 세태 비판 등이 어렵게 쓰였다는 것이다. 나 역시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느꼈을 수도 있겠는데, 전문가들이 아닌 일반 독자들이 대상인만큼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가고자 하는 시도가 좀 더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개개인의 차이도 있기 때문에 독자들마다 공감하고 느끼는 지점은 분명 다를 것이다. 진지하고 힘이 있는 그런 문학도 필요하지만, 약간은 소프트하고 즐길 수 있는 그런 문학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물론 정답은 없다.  


우리 삶에 문학이 왜 필요한지 생각해 본다. 독서는 여가활동이 아니라, 치열하게 살아가는 중에 내 스스로를 돌아보고 정비하는 데에 있어서 꼭 필요한 활동이다. 그중에서도 문학이 필요한 것은 문학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세상의 다양한 모습들을 체험하고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어쩌면 문학은 거창한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서 돌아보면 '문학적'인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매일매일 속에 존재한다. 거칠고 팍팍하게 여겨지는 삶이라고 할지라도, 한 페이지의 문학이라도 느끼고 공감할 수 있다면, 그게 바로 문학의 역할이 아닐까? 다양한 형태, 새로운 시도로 우리 삶 속에 다가오고자 하는 <문학 3>의 행보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때, 우리 할머니 - 25세 손녀가 그린 89세 할머니의 시간
정숙진.윤여준 지음 / 북노마드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의 할머니이기 이전에 여자였고, 또 그 이전에 소녀였던 할머니의 소소하지만 진솔한 이야기가 할머니의 나긋한 말투를 따라 잔잔히 읽힌다. 깊어가는 겨울밤, 할머니가 많이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약한 연결 - 검색어를 찾는 여행
아즈마 히로키 지음, 안천 옮김 / 북노마드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저 의지해왔던 검색의 결과를 당연하게 보지 않고, '약한 연결'이라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보다 넓고 효과적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것을 기대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홋카이도 보통 열차 - 청춘의 터널, 그 끝자락을 달리다
오지은 글.사진 / 북노마드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왜 한번도 혼자서 떠나야겠다고 생각하지 못했을까? <홋가이도 보통 열차>는 나름 후회없이 살아온 내게 큰 물음을 던졌다. 익숙하지만 낯선 곳으로의 여행,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더 많은 것을 보게 하는 시간인데- 언제라도 훌쩍 떠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기회가 된다면 이 책을 들고, 떠나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