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언니에게 소설Q
최진영 지음 / 창비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런 책이 있다. 어떤 주제를 다룰 것인지 알기 때문에 읽기 전부터 두렵고 걱정이 되는 책. 평온한 일상을 살아가는 등장인물에게 언제 그것이 닥칠지 몰라 읽는 내내 조마조마 마음을 졸이게 되는 책. 조금만 더 읽어서 그것이 나오면 너무 힘들 것 같은데 어느새 정이 든 등장인물들을 생각하면 함부로 외면할 수 없는 책. 최진영 작가의 <이제야 언니에게>는 내게 그런 책이었다.

하루에도 몇 번씩, 포털 뉴스 기사 제목에서 너무 흔해져버린 단어들- '성폭력', '피해자', '가해자'. 언제부터 우리 주변에 이런 일이 많았나. 원래 많았는데 인터넷 덕에 이렇게 흔한 일이 되어버렸나.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답답하고 피하고만 싶어진다. 내가 겪은 일도 아닌데 너무 두렵고, 또 두렵다. 하지만 과연 내가 그들의 마음을, 생각을, 괴로움을, 고통을 이해한다고 할 수 있을까. 아니, 전혀. 이 책을 읽고 나는 조금도, 아주 조금도 그들을 이해한다고 함부로 말할 수 없음을 깨달았다.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가장 가혹한 것은 그 사건 자체일테지만, 그보다 더 한 폭력은 피해자들에게 추측성으로, 비자발적으로 씌워지는 사회적 편견이 아닐까 싶다. 아마도 나 역시,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그들에게 '꽃뱀', '밝히는 x' 등으로 사건의 본질을 왜곡했을 것이라 생각하니 마음이 더 무겁다. '여자애라서' 나 역시 존중받지 못한 때가 있었을텐데 나 스스로도 '여자애라서'라는 생각에 나를 가둔 것은 아니었나도 생각해보게 된다.

이 사회에서 비난 받아야 할 사람은 피해자가 아니라 가해자다. 우리는 왜 이 당연한 사실을 너무 쉬이 잊어버리고 있을까. 우리는 왜 그럴까. 우리가 생각하는 합리화는 대체 누구를 위한 합리화일까. 잔인한 현실을 마주할 자신이 없어서 가해자의 편에서 편함을 추구하는 것은 아닐까. 세상에서 가장 잔인하고 무서운 것은 사람이다. 그것은 아마 몇 천년이 지나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

작가님의 편지에서 제야에게 편지를 쓰려고 했지만 한 글자도 쓰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읽었다. 과연 나는 무슨 말이라도 할 수 있을까 생각해 보았는데 나 역시도 어떤 말도 할 수가 없을 것만 같았다. 미안하다, 고맙다는 말조차도 제야에게는 상처가 될 것만 같았다. 아니, 이런 생각부터가 제야를 상처주는 일일지도 모른다. 그래도 제야만의 길을 택한 것이 대견하고 또 고마운 마음이다. 이 마음이 내가 제야에게 보내는 편지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