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뒤에 사는 사람 - 관객과 예술가 사이에서 공연기획자로 산다는 것
이성모 지음 / 오르트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최근 빅뱅 콘서트, 투애니원, 여러 외국 가수의 내한 등 여러 공연이 예정되어 있다

그러면 그 공연은 누가 만드는걸까? 평소에는 그런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던 것 같다

공연을 보기 시작하면서 매번 다른 무대구성을 볼 때마다 얼마나 고민하고 구성했을지 감탄하기도 했다. 때마침 공연기획자에 대한 에세이 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무대 뒤에 사는 사람을 읽게 되었다



공연기획자가 되었던거는 우연히 어렸을 때 보게 되었던 룰라 콘서트의 멋진 모습을 보고선 나도 저런 멋진 공연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시작이었다고 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며칠 지나면 다시 그 마음이 사그라들수도 있지만 고등학교 때는 공연을 자주보면서 흥미를 이어갔다. 사회복지로 대학 진학한거는 어쩌면 생뚱맞을 수 있지만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고려해야 하는 학과 특성 덕분에 사람의 다양성을 깨닫고 공감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어 공연 기획에 안목을 넓힐 수 있는 계기였을 것 같았다

사회복지로 진학해보는게 어떤지에 대한 얘기를 진심으로 들었던 작가의 자질 덕분이 아니었을까 싶었다. 성공할 사람은 떡잎부터 달랐던 걸까?



사람들은 많은 실수를 하며 삶을 살아간다

작가 역시 공연 기획하면서 실수를 한 적이 있지만 진심으로 사과하고 책임감 있는 모습은

사람들도 진심을 느낄 수 있었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작가가 사회복지 진학을 진심으로 진학했던 것처럼 사람들의 질타에 대해서도 진심을 느끼며

성장의 계기로 만들었던거는 좀 더 단단하게 만들어주지 않았을까 싶었다



그 이외에 공연 예산이 안정적이지 못해 공연 진행이 원활하지 못했던 힘든 이야기가 있었다

대학로에서 공연을 하는게 수입이 불안정하기도 한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투자를 받지 못하면 

사비를 내거나 빚을 내면서까지 진행된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는데 그런 어려움 속에서도 꿈을 

잃지 않는 모습은 대단하고 부럽다고 생각했다


그 외 지하철 1호선 뮤지컬을 계기로 10년 후 배해선 배우를 캐스팅할 수 있었던 이야기,

소설가 김하인 국화꽃향기의 공연 허락을 받을 수 있었던 이야기 등 여러 진심이 담긴 휴먼스토리로 시간가는줄 모르게 읽게 했다


틈틈히 무대감독, 작가 등 다양한 역할에 대한 설명을 써놓아서 어떤 스탭이 있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어 다음에 공연을 보게 된다면 그 분들의 노력을 느끼며 

좀 더 재밌게 관람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을 보고 공연을 본 다면 재미가 배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