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치마를 입은 날 가나 책 읽는 나무 2
오렐리 뷔롱 지음, 나오미양 그림, 김미선 옮김 / 가나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책 표지에 짧은 머리에 헐렁한 티셔츠 청바지에 운동화를 신은 여자아이 모습에

그림자는 원피스를 입고 있기에 무슨 날 어떤 사연으로 처음 치마를 입게 되나 궁금함에 책을 펼쳤다

공룡과 총 군인아저씨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힘들어도 무거운 짐도 거뜬하게 옮기는 안드레아

반짝이는 머리띠에 원피스를 입는 여자아이들은 한심하다고 여기면서

조앙과 조제와 조셉과 함께 조드레아로 이름을 바꺼 조조클럽도 만들어서

독특한 인사법을 만들고 남자아이들하고만 어울려서 논다

데데라 놀리며 한심하게 생각하던 아델라이스의 생일파티에 초대 받으면서

안드레아가 왜 남자아이 처럼 행동하는지에 대한 비밀이 풀린다

 

안드레아가 받았을 상처에 대한 많은 생각이 들었다

보통 부모는 상대 성의 아이를 원한다

워낙에 남자아이를 원하는 시어머니 때문에 아이를 임신해서는 나는 아들을 원했고

아들 형제로 자란 남편은 딸을 원했다

딸아이가 태어나서 자라면서

시어머니의 아들 하나 더 낳지 하시는 말씀을 수 없이 들어야 했다

그 이야기를 몇 번 들어서 인지 아이가 엄마는 내가 다시 태어난다면 아들로 태어났으면 좋겠어

딸로 태어났으면 좋겠어 하고 물었을 때 아이가 받았을 상처를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

어른들이 무심코 하는 말에 상처를 입고 결국은 오해였던 사실을 알고

치마를 입은 안드레아처럼 우리 아이도 이 책을 읽고 우리가 얼마나 사랑하는가를 알게되었으면 한다 

 

안드레아 아버지처럼 악의없이 한 말에도 안드레아는 상처를 입었다

악의없는 말이라도 남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졌으면한다



요즘 아이들 보면 유독 남성적인 아이 여성적인 아이들보다는 중성적인 아이들이 많다

아이들이 남여차별 없는 세상에서 꿈을 키워가면 살아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스 - 운명의 여신은 결코 뒤돌아 보지 않아요! 아이세움 논술명작 46
토머스 하디 지음, 권민정 엮음, 박우현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초등학교 5학년인 아이는 어려서 읽은 그림명작과

아이세움 명작을 비교해 읽는 재미에 푹 빠져있다

테스는 그림명작으로 없던 책이라 처음 읽는 것이지만

한 자리에 앉아 단숨에 읽고는 테스는 에인절을 용서해 줬는데

에인절은 테스를 용서하지 않았다고 불공평 하다고 투털댔다

아이의 모습을 보고 있자니 어렸을 적에 나도 그런 생각을 했던 것 같다

아이세움 명작 시리즈는 매번 느끼는거지만

구성이 참 마음에 든다

만화로 미리보기와  간략한 줄거리 요약과 어떻게 읽을 지를 알려줘서

흥미를 느낄수 있게 해준다

책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그 뜻을 알고 넘어가야 하는 우리 아이에게는

낱말풀이가 있어서 책 읽는 흐름을 깨지 않고 읽어서 이 책을 좋아한다

책의 뒤부분에는 작품소개와 작가소개 논술 워크북이 있어

따로 논술 공부 하기에 적당하다

1891년에 발표된 소설이지만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번역으로

추천하는 글에도 있듯이 완역본을 읽기 전에 읽으면 너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동장 들어 올리는 공 - 최초의 스포츠 동시 정인어린이 4
이준섭 지음, 임영란 옮김 / 정인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꽃이나 사물들로 이루어진 동시만 보다가

운동회 체육시간 스포츠경기 올림픽을 주제로 한 동시는 참 낯설었다

다소 남성적이며 격하다는 느낌이 드는 운동으로

이렇게 아름다움을 표현해 낸 시인이 참 존경스럽다

연필로 쓱쓱 그려 놓은 듯한 그림이 동시의 따뜻함을 한층 더해줬다

어릴적 운동회하면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줌마 언니 오빠 동생 아가등

많은 사람들과 운동장 달리기 하고나면 손등에 찍어주는 도장

줄다리기 2인3각달리기 함성 풍선 솜사탕아저씨가 떠오른다

그런데 요즘 초등학교 운동회에 가보면

정말 형식적으로 치루는 운동회 같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운동회 연습을 시키면 운동회 연습하는 시간이 아깝다고

학부모들이 학교로 항의 전화를 한다고 한다

흙을 밟으면서 마음껏 뛰어 놀지도 못하는 어린이들이

이 책을 읽고 한가지 운동이라도 열심히해서

몸도 마음도 건강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아이가 동시집을 읽고 지은 시다

 

달리기

                                               -신예원-

달리기 소리가 나오면 아~아~ "하기 싫어"

하지만 뛰고나면 헉헉 거리면서

또해요 한번 더 해요 하네

 

 

철봉

                                         -신예원-

아이들이 옹기종기모여

철봉 매달리기 시합하네

누가 누가 오래 매달려있나

그리고 시작하면

1명 2명 얼굴이 빨개지네

그리고 조금 지나면

1명 2명 툭!툭! 떨어지네

그래도 여지저기서

하하하 호호호 깔깔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4년 - 미래 사회는 우리 손에 달려 있어! 아이세움 논술명작 47
조지 오웰 지음, 우현옥 엮음, 박우현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세움 논술 명작중에 세 번째로 만난 책

1984년..

조지 오웰이 1949년도에 발표한 마지막 소설 1984년은

전체주의가 미래에는 세계를 지배할 거라는 생각으로 쓴 소설이다

 

텔레스크린을 통해 밤낮으로 감시하면서 엄격한 생활 통제를 한다

일기를 쓰는 것도 사랑을 하는것도 과거를 기억하는것도

모두 금지되어있다

윈스턴은 일기를 쓰면서도 줄리아와 사랑을 하면서도

늘 사상경찰에게 틀길까봐 두려워한다

줄리아와 함께 오브라이언에게 잡혀가서 혹독한 고문과 세뇌 끝에

줄리아를 배신하면서 풀어난다

총에 맞아 죽으면서 빅브라더를 사랑함을 느끼며 죽음을 맞는 윈스턴...

 

아이에게 약간은 어려운 주제의 명작이지만

미리 만화로 줄거리 소개와 함께 어떤 식으로 읽어야 할지를 알려줘서인지

아이는 별 무리없이 읽었다

어려서 읽었던 1984년은 참 지루한 소설로 기억하고 있었는데

아이세움에서 나온 1984년을 읽으면서는 참 재미있었다

아이와 함께 진정한 자유는 뭘까라는 주제로 많은 이야기를 나누게 해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 시크릿 - 친구에게만 알려주고 싶은 사이엔티아 3
네가미 세이야 지음, 고선윤 옮김 / 바다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어렸을때부터 많은 교구활동과 창의력 수학을 통해 수학과목을 즐겨하던 딸아이가

초등학교 4학년 1학기로 접어들자 갑자기 어려워진 수학때문에 힘들어하기 시작했다.

모든 과목의 기초인 수학이기에 지금 당장 수학성적이 안좋은건 어쩔수 없지만

수학에 대한 흥미를 완전히 잃어버릴까 걱정이었다.

그래서 뭔가 수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수학이란 결코 재미없는 과목이 아니라는 걸 알려주기 위해

몇권의 책을 사줘봤지만 역시나 별 효과가 없었다.

그러던중 우연히 수학시크릿이란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이 일본인 저자는 말머리에서 세상에는 수학을 잘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참 많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학교에서 치른 수학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한 것일뿐

사실은 누구나 수학을 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평균값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나열된 수를 순식간에 더하는 방법,

색깔로 구분하여 셈돌 세는 방법, 1과 0.99999 수수께끼 ,

정육면체 달력만들기 등등. 생활에서 쉽게 발견할수 있지만

무심코 지나치게 되는 수학에 대해 저자는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읽다보면 정말 이래서 수학은 존재하는거야 라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무엇보다도 이책을 통해 느낀점은 저자는 정말 수학을 사랑하는구나라는 생각이 든다는 것이다.

수학을 사랑하지 않고는 이렇게 전혀 다른 관점으로 접근한다는 것이 불가능 할것이다.

 

물론 살짝 어려운 내용도 많아서 초등학생이 읽기엔 다소 어려운 면이 없진 않지만

일단 수학은 이해할수 없고 어렵기만 하다는 아이들의 오해를 풀기엔 충분하다고 본다.

 

끝으로 118~119p 3제곱미터는 9제곱미터로 166p 49센티미터는 49제곱센티미터로 바꿔야하는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