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석구석 인체 탐험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6
닉 아놀드 지음, 이충호 옮김 / 주니어김영사 / 199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으스스한~우리몸을 탐험하러 고고씽! 

탄력있는 피부: 피부는 어던 옷보다도 훌륭하다.왜냐하면 손상이 되어도 저절로 재생이 알아서 되기때문이다.자체 냉난방 시스템도 갖고 있다고 말을 한다.피부는 신체의 나머지 부분들을 둘러싸면서  각 부분들이 제자리에 붙어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살은 외부에서 보호해주는 조건중의 하나로 생각한다.만약 피부가 없다면 우리는 넘어지게 된다면 아주 큰 손상을 받을 것 이다. 그러므로 외부를 감사줄 피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두꺼운 지방 :피부의 모든 아래에는 여러가지 구조로 이어져 있지만 지방층도 부드럽게 피부의 아래를 받치고 잇다. 또, 배와 엉덩이 주위에는 두꺼운 지방층이 출렁출렁 거리고 있다.지방은 추위로 부터 신체를 보호하여 준다. 그리고 지방은 우리가 먹는 모든 음식들에서 단 음식에서 흡수된 여분의 당분을 저장하는 아주 휼륭한 장소이다. 아침에 조깅을 할때에, 지방에 저장된 당분 중 일부가 소비된다. 

우리가 군것질을 할때 크림과 초콜릿이 듬뿍 얹혀 잇는 케이크가 먹고 싶지 않은 가요?피자나 스테이크를 보면 군침이 흐른다.만약 그렇다면 이장은 여러분의 식욕을 삭 가시게 한다.입속으로 들어간 음식이 십히고 짓뭉개지고 뒤섞이는 것을 생각을 해보아라.이 모든 일들은 바로 메스꺼운 소화액 때문에 일어난다. 

소화샘은 소화액을 분비하는 곳이라고 알게되었다.몸안의 각각 다른 장소에 여러 가지 소화샘이 숨어 있으며 ,음식물이 지나가면 빨리 소화액을 뿌린다.그런데 이들 소화샘에서 얼마나 많은 소화액이 나오는지 생각이 되나요? 그것은 결코 적은 양이 아니다. 만약 소화기능이 없게 되면 우리는 똥도 못싸고,오줌도 못싸게 된다. 만약 진짜로 없어지면 매일같이 음식을 먹으면 먹은 것들을 토를 해야낸다. 그러므로 우리몸의 내부와 외부를 소중히 잘 지켰으면한다.그래서 이제부터라도 하나뿐인 몸을 잘 다루고 소중히 여겼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양전사 체육쥐 2 - 불량개의 반격
정섭 지음, 김준범 그림, 김윤성 / 스프루스(엘아이지미디어)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 몸에 대한 식습관에 대해 알아볼 준비가 되었습니까?  네!네!네!네!네! 

우리몸의 뼈들 

우리 몸에는 무수히 많은 뼈가 있다. 뼈는 겉 모습만 보면 전체가 매우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우림몸의 안에 스펀지와 비슷한 구조가 있다.그 안에서 백혈구와 적혈구를 생성하는 골수가 지나가는 것 이다. 또 뼈는 언제나 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새로운 뼈 조직 으로 바뀌는 과정을 겪는다고 한다.우리 몸에 있는 뼈의 개수는 206개라고 한다.나는 뼈들은 우리몸을 지탱해 주기만 하는 줄 알았다.하지만 이 책을 보면 새로운 피를 만들어 주고,내장기관을 보호해주기도 하고,우리 몸의 체형을 유지해 준다고 알게되었다.뼈의 개수를 알아보자면 팔뼈는64개이고,다리뼈는62개이다.또 얼굴뼈는23개,척추뼈는26개,가슴뼈는 25개된다.그러므로 내 몸을 소중히 여겨야 겠다. 

우리몸의 면역 기능 

우리 인간들은 무수히 많은 병균들이나 나쁜 물질들에 노출되어 끊임없이 건강과 생명을 위협 받고 살아간다.그래서 만약에 우리 몸이 이런 나쁜물질에 아무런 방어능력이 없다면 쉽게 병들고 죽어 갈 것이다.하지만 우리 몸은 이런 외부 항원들에 대해 방어하여 우리몸을 건강하게 지키는 능력이있다. 그것이 바로 면역이라는 물질이다.우리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우리의 몸의 균형이 깨지는 것이다.면역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편식하지 않고,음식을 골고루 먹여야 하고,규칙적인 수면과 푹 자는 숙면이 필요하고,규칙적인 운동과 햇볕을 쬐면 비타민D가 생겨서 면역력을 키워준다. 

너무 춥다고 방안에만 있지말고 가끔씩 밖에 나와서 간단한 운동을 하여야지 면역력이 생겨서 튼튼한 우리 몸을 만들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양전사 체육쥐 1 - 체육쥐의 탄생
정섭 지음, 김준범 그림, 김윤성 / 스프루스(엘아이지미디어)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생활에서먹는 음식의 대한 변화와 몸의 변화에 대해 구석구석 알아보자. 

불량식품은 나빠요!

어떤 아이들은 학교의 방과 후 문방구나 구멍가게에 들려 100원,200원 어치즘 되는 불량식품을 사먹는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건강에 너무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우리 몸에 해로운 지 ,좋은건지 검사를 하고 해롭지 않아야만 가게나,마트에 팔게 되어있다. 하지만 문방구,구멍가게에 파는 불량식품들은 이러한 검사들을 받지 않고 우리가 눈으로 보았을 때 맛있어 보이고 좋아보여서 사먹는다. 그러나 불량식품을 먹었을 때의 느낌은 달콤하면서 사람들을 중독시키는 중독성이 있는 것 같았다.이러한 불량식품들을 구별하는 방법은 포장지에 있는 제조업체가 없는 것,포장지의 원 제조일자나 유통기한 위에 스티커등으로 붙여 파는 것이 불량식품들이다.그러기 때문에 꼼꼼하게 확인하여서 우리몸을 건강하게 지켜야한다. 

콩의 이로운 점 

우리가 먹는 반찬에는 콩이 올라올때도 있다.콩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단백질에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이 균형 있게 들어 있다.콩의 지방의 함유량은 18%정도인데, 대부분이 불포화 지방산이며 그 반 이상이 최상급의 리놀레산이다.콩은 우리 식생활과 뗄래야 델 수 없는 음식이다.우리가 먹는 두부나 콩자반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로 불릴 만큼 단백질과 지방질이 풍부하기때문에 우리가 식생활에서 많이 즐겨먹어야 한다.그래서 나도 비록 살은 쪘지만 콩의 영양분을 많이 섭취하여 몸을 단단하고 건강하게 만들어낼 것 이다. 

채소의 영양분 

채소란 신선한 상태로 부식 또는 간식에 이용이 되는 초본성의 재배식물을 듯하는 것 이라고 한다. 하지만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재배를 하지 않고 산이나 들,들판에서 채집을 한 것은 채소에 포함이 되지않는다.그리고 우리나라의 재배되고 있는 채소의 종류는 60여 가지나 있다고 한다.우리 몸의 성장과 생명 유지에 필요한 채소에는 비타민이 들어있다.비타민(A)는 당근, 호박, 고추, 황색 고구마와 시금치등에 많이들어있다.비타민(B군)에는 비타민B1과 B2는 단옥수수, 시금치, 버섯 등에 많이 들어있다.비타민(C)에는 파슬리,피망,딸기 등이 있다.이렇게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는 야채들은 많이 먹어야 한다.왜냐하면 우리 몸을 활발하게 해주고 암도 예방을 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모두 야채를 많이 섭취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다가 바글바글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10
애니타 개너리 지음, 이명연 옮김 / 주니어김영사 / 199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바다는 수억만년전에 공기가 모아져 구름이 생기면서 물이 내려와 만들어진 것이다.  

 1960년 1월 23일 오전 8시 15분 정각, 두 남자가 불안한 미소를 짓고 커다란 잠수정아래에 달린 소형 강철 캡슈에 올라탔다.그 들은 소형 자동차 만한 크기의 안에 들어가서 크레인이 내려가기만을 기다렸다. 

마침내 크레인이 천천히 움직이면서 잠수정이 태평양의 검푸른 수면으로 내려갔다. 두 사람은 자크 피라크 박사와 미 해군의 돈월시대위였다. 

그들의 임무는 세상에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 해연을 탐사하는 것이엇다고 한다.그 때까지 어느 누구도 엄두 내지 못했고 가능하다고 생각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두 사람은 해저 11km까지 잠수를 하였다.그래서 지구 상의 사람들은 또 다른 박사들의 도움으로 바다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게되었다. 

그리고 지구상의 바다는 지구 표면의 2/3를 덮고 있다.만약 여전히 쓰레기를 마음대로 버리고 생태계를 파괴하게 된다면 바다는 영영 사라지게 된다.하지만 바다에서 현란한 색을 자랑하는 생명체를 마나고 싶다면,산호초를 보아야한다.  

산호초는 섬처럼 커다랗게 자라기도 하지만,그 산호초들을 만드느것은 개미보다 작은 생물이다.그런데 지금 그들이 죽어가고 있다. 이미 10%의 산호초가 지구상에서 사라졌고,60%의 산호초가 중병을 앓고 있다. 그러므로 나는 바다가 소중한것이니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바다에 대해 더 연구를 했으면 바란다. 

바다는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이로움을 가져다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전이 요리조리 앗, 이렇게 새로운 과학이! 32
마틴 브룩스 지음 / 주니어김영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유전의 변화를 쉽게 알아보는 활동은 아기가 엄마와 아빠의 유전을 받고 태어나 아빠의 몸이나 엄마의 얼굴을 닮는것을 말한다. 다이런 것은 바로 유전이 되기때문이다. 

사람이 동물로 바뀌는 이야기는 소설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인도에는 호랑이 인간,아프리카에는 표범 인간과 하이에나 인간,러시아와 프랑스에는 박쥐 인간과 늑대인간의 전설이 이어지고 있다.동물로 변한 사람 중 에서 가장 흔한 형태는 이리 인간이라고 한다. 

유럽 사람들은 대부분 소설이나 역사로 이리를 가장 무서워했다. 건강한 이리는 사람들과 친하고 사람들은 공격하지않지만,미친 이리는 사람을 물어뜯는다.미친 이리에게 물린 사람은 공수 병이라는 병에 걸릭게 마련이다.이러한 장면을 본 사람들이 이리인간의 전설과 역사를 만들어 낸다. 

처음으로 이리인간으로 유전이 되어 이리인간 사건은 16세기 쯔음에 독일에서 발생하였다.이리의 피부로 만든 혁대를 찬 한 남자가 25년 동안 이리 인간으로 변하여 잔인한 행동을 하였다.가축들은 물론 죽여먹고 어린아이와 임산부를 살해하고 먹었다고 한다. 

세기가 지나자 최초로 복제된 생물은 양인 돌리라고 한다.돌리를 복제한 방법은 성숙한 양의 젖통으로부터 세포하나를 데어낸다. 그세포의 염색체들을 끄집어 낸다. 이 염색체들을 비어 있던 난자 세포에 집어넣는다. 그리고 그 난자에 전기충격을  주어 발육을 시작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그리고 나서 그난자를 어느 양의 자궁 속으로 집어넣는다.그리고 그속에서 분열하고 성장하여 복제한 샐운 셍물이 태어나는 것이다. 

이 책을 보면 나중에는 사람들도 복제를 할 수있다고 말을 한다. 하지만 나는 사람을 복제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왜냐하면 복제를 하게 된다면 인구수가 늘어나 쓰레기등을 만약 계속 버리게 된다면 자연이 파괴되고,어느 사람이 진짜인지 구별도 못하게 되고 자신의 일을 복제된 나에게 미루게 된다면 복제된 사람들이 지식을 많이 알게되어 지구를 지배하게 될 지도 몰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사람을 복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