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파일링 - 범죄심리와 과학수사
브라이언 이니스 지음, 이경식 옮김 / 휴먼앤북스(Human&Books)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프로파일링에 대해 관심이 생긴 뒤로 어떤 책을 보면 좋을까 고심을 많이 했다.
우선 이 책의 경우 내용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을 뿐더러 독자들의 리뷰도 호불호가 갈리는 통에 더욱 더 고민이 됐던 게 사실이다(물론 비싼 가격도 한 몫 한다).
이 책은 현재의 프로파일링 기법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이 서술되어 있다.
살인자들과의 인터뷰 내용이 아니라 범죄자의 특성을 찾아내는데 고심했던 과거 심리학자들 이야기와 그들이 만든 기법에 대한 이야기(이 기법을 통해 해결한 사건의 에피소드)가 중심이다.
따라서 에피소드 중심의 이야기를 기대한 독자에게는 다소 흥미가 떨어질 것 같다.
문제는 프로파일링 기법에 대해 자세히 다룬 것이 아니라 단지 이 분야가 걸어온 흔적들을 간단한 에피소드와 함께 서술한 형태라서 학문적인 관심 하에 접근하려는 사람에게도 별로 충족스럽지 않을 거라는데 있다.
입문서?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은데... 고작 그런 걸 알려고 큰 돈 들여 책을 구입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 건 사실이다.
개인적으로 홈즈의 실제 모델 이야기가 가장 흥미로웠는데(실제 분량은 1장 정도)...
그 이유는 그가 자신이 추론한 근거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이 분야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독자들이 원하는 것은 바로 이 '추론의 근거'라고 믿는다. 왜냐하면 이것이 바로 프로파일링 기법의 가장 핵심이기 때문이다.
범죄현장을 보고 범인은 백인이며 20대 후반이다. 라고 프로파일러가 추론을 했다면 왜 그렇게 생각하게 됐는지에 대한 근거가 분명히 언급돼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 책은 확신을 가질 수 있는 이런 단락이 많지 않다.
그저 사건의 개요를 소개한 뒤 심리학자의 추론이 어떠했다고 언급되는데, 여기에 대한 근거는 대부분 완전히 빠져 있다. 그저 맨 뒤에 가서 "그의 추론은 정확했다."하고 말할 뿐이데, 시시하단 생각이 들지 않겠는가? 결국 이 책은 프로파일링 기법에 대한 설명 보다는 그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는 수준 이상은 아니다.
이 책을 짚어들 독자들은 이 점을 반드시 참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