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동주
안소영 지음 / 창비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토록 염치없는 시대 윤동주를 다시 읽는다는것...


책의 표지에 이렇게 써있습니다. 책을 읽기도 전에 이말 한마디에 잠시 책장을 넘기지 않고 있기도 했지요


윤동주 ... 우리가 읽어버리고도 부끄러운줄 모르는 천재시인 ...

시를 좋아하는 주변지인들은 윤동주를 천재라고들 합니다. 저역시 윤동주라는 시인의 시는 읽고나면


참좋은 시다 라는 느낌에 잠시 생각에 잠길수있는 시인이기도합니다. 출판사도 믿고 보는편인 창비에서 나왔다는점도


이책의 선택에 영향이 있었는데 윤동주 라는 한사람만으로도 관심이 갑니다.


젊은나이의 한사람의 천재시인은 일제에 협조하다못해 적극 협조해서 해방이후에도 교과서 등에 실리며


해방한지 반백년이 넘은 지금도 좋은 시인 좋은 작곡가 음악가 소설가들이 널린 이나라에서 친일 징병가였던


(징병의 노래라는 제목에서 용정가로 다시 한국에서는 선구자로 알려졌다)  선구자 같은


노래를 아직도 학생들이 배우는 이나라에서 뜻을 굽히지 않은 문인 이었던 윤동주 ... 시인동주


그는 시인으로서의 천재성은 물론 그역시 자신의 재능을 적당히 라도 일제에 협조하지않았던 일제치하 조선의


뜻있는 문인으로서라도 최소한의 대접은 해야하지만 유럽의 유명한 시인의 시한줄은 외워도 그의 시에대해 물으면


정작 답할수있는사람이 요즘음 거의없다 ... 물론 학창시절 배운것 말고


그가 어떠한 삶은 살다갔는지 조금이라도 알고 소설속의 윤동주를 만난다면 더욱좋을것이다.


일제에 붙잡혀 감옥에서 생체실험으로 추정되는 정체모를 주사로생을 마감한 우리의 시인 윤동주에대해


더 무슨말이 필요하겠는가


평소 그의 시를 모르더라도 몇편만 읽어보면 알수있을것이다. 그가 너무 짧은 생을 마감한 천재였다는것을....


이책을 보고나니 부암동의 윤동주 문학관을 가보고싶어졌습니다.  해방6개월을 앞두고 사망한 안타까운 죽음과


유학을 위해 필수적이었던 창씨개명을 하고 괴로움에 참회록을 쓴그였다. 조국을 팔아먹고도 부끄러움을 모른채


지금까지 살아있거나 후손들이 친일파 조상의 땅을 찾겠다고 소송을 하면 그들의 권리를 찾아주는 이나라에서


동시대를 같이할수는 없지만 소설에서라도  한번쯤 윤동주를 다시한번 만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