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들키지만 않으면 악마도 된다 - 마쓰시타 고노스케와 한비자의 가르침
하야시 히데오미 지음, 이지현 옮김 / 전략시티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사람을 있는그대로 보고 있는그대로 판단하라...

``군주의 우환은 신하를 믿는데서부터 비롯된다.``

``군주와 신하의 이익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신하들에게 충이란 없으며 , 신하의 이익이 서면 군주의 이익은 없어진다.``

이책은 일면 사람을 나쁘게만 보는것 아니냐는 비난을 살수도 있다. 그러나 아닌척할뿐 우리 모두는 경험과

배움에 따른 편견을 조금씩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통해 사람을 판단한다. 말로만 자신은 편견이 없다고 할뿐이다.

회사에 충성을 다하는 직원역시 자신의 영달을 위해 일하는것이라고 보는것이 회사만을 위해 몸바쳐 일했다고 하는

말보다 더 설득력이있을것이고. 취임사나 신년사에서 사장이 `여러분 모두가 회사의 주인이라는 마음?으로 `

일하라는것이 공허한 메아리일뿐이라는것또한 설득력이있는말이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서운하거나 당했다고 느끼는것또한 누군가를 믿었기 때문에 벌어지는일이지만

그렇다고해서 매번 남을 의심하고 걱정하면 사는게 너무 팍팍해진다.

경영의 신으로 불리는 마쓰시다 고노스케와 성악설에 근거를 둔 학문을 설파한 한비자의 가르침을 위주로

짧지만 다양한 일화들을 위주로 책의 내용은 이루어져있다. 사는게 복잡해진 지금이나 과거나 똑같은 한가지는

타인 특히 `마음이 약하고 남의 부탁을 거절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접근해 이용하고 사익을 챙기는

자들은 늘 있어왔다. 이러한 자들에게 사람좋은 사람이 당하지 않으려면 의심병을 달고 살지는 않더라도

약점을 노출하는일을 줄여야 살아남을수있다는점을 잘 알려준다.

위에서 말했듯 군주나 신하의 이익이 같을수는 없는것 아닌가? 물론 내마음같이 내가 너의 어려움을 보고

도왔다 이제 내가 어려우니 너도 나를 도와주기를 바란다 라는 말이 항시 통용된다면 좋겠지만

인간이 어찌그렇던가? 남들이 나를 보고 비난할만한곳에서 하는행동과 남이 보지않고 특히 들키지않는다면

인간의 편함이나 욕망이 먼저 튀어나오는것또한 인간의 본성이라는것이 이책의 요점일것이다.

인간의 본성 그자체를 인정하고 너무많은 약점과 틈을 노출하는것이 어쩌면 타인에게 감춰진 욕망을

드러나게 할수도있으니 어떻게하면 그러한일을 줄일수 있으며 어떠한 것이 인간의 숨겨진 욕망과

본성을 일깨우는것을 알려주는 지침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