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과 꾸중의 힘 - 말 한마디로 아이를 크게 키우는
상진아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기전에는 아이와 부모가 격이 없이 지내는 가정을

보면 무척이 보기 좋아했고, 나 역시 그런 가정을 꿈을 꾸었다.

하지만 살다보니 나는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을 아이들에게

미안하게 생각하였는 데,이제는 그런 생각을 하지말아야겠다.

부모는 아이의 친구도 아니고,친구가 될 수도 업스며,친구가

되어서도안 된다. 아이들은 친구가 필요하면 집 밖에서 얼마

든지 친구를 만들 수 있지만 부모 역활은부모만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꾸중의 방법이 이렇게 잘못되어있는 줄은 몰랐던 것이 사실이다.

아이가 잘못을 하면 나는 그렇게 하라고 하지 않았는 데,얘는

왜 이러지 하며 아이에게 험한 말과 행동을 하였는 데, 이 책에도

그런 내용이 나와 있어서 나만 그런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

읽는 동안 부담을 덜 수 있었다.

이 책을 읽는 날에도 여지 없이 말썽을 피우는 아이에게 책에서

나온 방법을 사용해 보았더니 아이 생각을 많이 들을 수 있었다.

아이들은 누구든지 부모에게 사랑받고 싶어하고 부모를 기쁘게

하려는 마음이 있다. 아이가 말썽을 피우는 것은 부모의 마음을

일부러 속상하게 만들기 위함도 아니고, 선천적으로 나쁜 아이이기

때문에도 아니다. 아이들은 아직 세상에 적응하는 법을 배우고

터득하는 중이며 그 과정에서 실수를 하면서 하나하나 배워나간다.

따라서 아이의 행동만을 보고 나쁜 아이로 명명한다면 아이는 실수를

통해 정신적으로 성숙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버리게 된다.

부모의 말처럼 정말 '나쁜아이'의 상태에 머무르게 되는 것이다.

아이의 행동이 잘못되었다면 "엄마는 널 사랑하지만 아까 네가

한 행동은 받아들일 수가 없어. 네 행동에 엄마는 실망했다"라고

말하여 아이가 어마.아ㅃ의 사랑을 의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너 같은 거짓말쟁이하고 누가 같이 살고 싶겠니?"와 같은 말을

무수히 내 뱉은 제가 이 책을 보면서 아이가 받았을 상처를

생각해 보니 정말 미안했습니다.

아이를 위한 꾸중인지 내 화풀이를 위한 꾸중이였는지 다시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이와 같이 집에서 손 쉽게 해 볼 수 있는 심리치료 놀이 방법이

나와 있어서 그 방법대로 한다면 우리아이의 심리 상태도 알 수

있을 것 같아서 좋았구요. 특히 쓰레기통 테크닉 방법은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이 책을 보면서 느낀 것은 제가 자책할 필요도 없고 내 아이에

대해 단정지을 필요도 없다는 것입니다. 이제부터 걸음마 배우는

마음으로 아이에게 칭찬도 꾸중도 해 보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