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할 일
김동수 지음 / 창비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의할일 #김동수 #그림책 #창비 #서평단 #서평 #그림책추천

강가에서 아이는 무엇을 하고 있는 걸까. 과자 봉지, 음료수 캔. 그리고 검은 비닐봉지? 강가에서 무언가를 건져 올린다면, 물고기여야 마땅할 것 같은데, 건지고 있는 것들이 사실은 모두 쓰레기다. 쓰레기가 떠다니는 강에서 쓰레기를 건지며 놀고 있다는 건, 말 그대로 동심 파괴다.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이렇게 짖밟아도 되는 걸까.
하지만, 이게 현실이다. 지금의 강, 그리고 우리의 자연은 사람들이 만들어낸 각종 물건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 강에서도 물고기 대신 쓰레기를 건지는 현실이라면, 여러 말이 필요 없는 상황이란 뜻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말을 해주고 어떤 경험을 선물해줄 수 있을까.

쓰레기를 건지며 시간을 보내고 있는 우리 아이는, 비닐봉지인 줄 알았던 검은 머리카락을 건지고 되고, 되려 머리카락에 이끌려 강물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건 말 그대로 공포! 어디로 왜 가는지도 모르는 곳으로 끌려가는 그 마음이 어떨까. 무섭고 떨리고, 하지만 한편으로는 궁금하기도 하고. 그렇게 우리의 물귀신들을 만났다.

"반가워요, 오늘의 어린이. 오느라 고생 많았습니다.

우리는 물을
깨끗하게 해요.
오염이 갈수록 심해져서
늘 일손이 부족하답니다."

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물귀신들은 노력한다. 하지만 늘, 일손이 부족하다. 왜일까? 당연히, 깨끗하게 하는 작용보다 더럽히는 속도가 훨씬 빠르니까. 이런 빠른 속도로 자연은 점점 더 오염이 되어가고, 그런 오염을 사람들은 나몰라라 완전 뒷전이다. 그러니, 물귀신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쉽게 물이 깨끗해지지 않는다. 그래서 '오늘의 어린이'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인 것이고.
이때 '오늘의'라고 이야기한 건, 이미 이전에도 또 그 전에도 '오늘의' 어린이가 있었다는 뜻일 거다. 기념 사진을 찍은 듯 다른 어린이의 사진이 여럿 보인다. 그렇다면, 강물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내내 어린이의 도움이 필요했을 것이다. 물귀신들의 힘만으로 안 되니, 반드시 어린이의 손길과 힘이 필요했던 것이다.
자연은 힘을 가지고 있다. 누구의 손을 빌리지 않아도 제 스스로 자신을 지킬 줄 아는 힘을 갖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시대는 자연이 제 속도대로 자신을 지켜나갈 수가 없다. 결국 어린이의 힘을 빌려 깨끗하게 만드는 일에 소홀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아이는 '오늘'의 시간을 보내고 난 뒤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이 아이와 물귀신의 이야기를 읽고, 우린 어떤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일까. 누군가는 지구에서 사람만 없어지면 다시 자연이 제 모습을 되찾을 수 있을 거라고 쉽게 이야기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환상은 지금 우리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결국 이런 상황을 만든 장본인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게 바로 사람이고, 자연의 노력에 사람의 노력이 보태져야 우리의 자연이 다시 제 모습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사람이 해야 할 '오늘의 할 일'이지 않을까.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