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자의 사전
구구.서해인 지음 / 유유히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업자라는 말을 익숙하게 사용하지 않았던 것 같다. 특히 나 자신을 가리키는 단어로 작업자는 적합한 표현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작업과 일이라는 단어 사이에 어감의 차이도 나 보였다. 뭔가 '작업'이라고 하면 좀 더 구체적인 결과물이나 성과를 만들어내야 할 것만 같은 느낌. 내가 하는 일이 딱 한마디로 결과가 만들어져 끝낼 수 있는 일이 아니라서 더 그랬을 수도 있다. 그래서 이 책이 더 궁금했을 수도 있다. 다른 영역과 삶을 들여다본다는 느낌.
헌데 읽으면서 딱히 그렇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단어들마다의 정의를 읽으며 고개가 절로 끄덕여졌으니까. 일이라는 것이 어떤 분야든 크게 다르지 않구나 싶었다. 무슨 일을 하든 그 안에서 벌어지는 상황과 감정은 거기서 거기구나. 그러면서 우리는 무엇을 위해 일을 하고 있는 걸까요 대해 생각해보기도 했다. 내 일과 이 세상의 모든 작업에 대해.

거절
작업자의 '짬'이 드러나는 궁극의 지표.
다음 기회가 주어진다면 꼭 성사시키고 싶은 것.

첫 단어부터 공감이 확 됐다. 요즘 자주 하는 생각이 '관계'다. 이 관계에 있어 '거절'이 차지하는 비중이 참 높다. 거절을 잘하는 것과 거절을 못하는 것 사이에서 관계는 곧 일이되고 나의 작업과 연결된다. 그러니 이 거절이 뜨거운 감자다. 또 그 사람을 어떻게 판단하고 평가하느냐에 따라 이 거절이 평판이 되고 사회성이 되며 작업의 능률과 능력으로까지 확장된다. 아, 너무나 어렵고도 고단한 길이 '거절'이다.
첫 단어를 읽으면서 이런 식이라면 이 책, 무척 흥미로운 걸, 하며 읽어나갔다. 재밌고 공감됐으면 때론 쓴웃음을 지었다. 나와 하는 일이 무척 다른 듯 보이는데도 왜 이 모든 단어가 내 일과 연결이 되는 건지. 내가 하고 있는 일, 직장, 나의 작업에 이 단어들을 연결시키며 나의 상황에 맞춰 해석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됐다. 이게 바로 이 책이 갖고 있는 매력이구나. 다른 일을 들여다본다는 생각으로 펼쳤지만 누구나 자신의 작업을 생각하게 만든다는 건, 그만큼 이 사전이 보편화된 우리 모두의 '작업'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일 테니까. 이래서 이 책을 읽고나면 일과 작업에 대해, 우리가 하고 있는 노동에 대해, 그런 사회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평소, 표준국어대사전을 자주 찾는다. 내가 하는 일(혹은 작업)과 연관성이 높기도 하지만, 그렇게 찾아 알게 되는 정보가 때론 미처 생각해보지 못하는 지점에 가 있기도 해, 그런 재미로도 사전을 곧잘 찾는다. 생각의 시작점을 찾고 싶을 때고 찾게 되고. 앞으로는 <작업자의 사전>도 자주 찾게 될 것 같다. 무언가 내 일에서 부딪히게 되는 어떤 순간들이 생길 때, 이 사전의 단어를 찾아 다시 읽어보는 것만으로도 잠시 위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나만 이런 건 아니구나, 하는 동질감에서 오는 안정감 정도라고나 할까.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