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위스키, 100년의 여행 - 오늘은 일본 위스키를 마십니다
김대영 지음 / 싱긋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술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다. 이렇게 말하면 오래 전부터 알던 사람들은 어이없어 할 수도 있지만. 처음부터 술이 좋았던 적은 없었다. 다만 술을 마시면서 사람들과 어울리는 시간이 좋았을 뿐. 술이 매개가 되어 사람들과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을 활용했을 뿐이다. 그러다보니 여러 사람들과 어울려 함께 흥을 돋우는 가장 서민적인 술들을 접해봤을 뿐, 그 외의 주종에 관심을 가진 적도 없었다. 심지어 종종 선물로 받는 와인도 몇 년씩 상자째 묵혀놓았다 집에 방문하는 누군가의 손에 다시 들려 보내주는 과정을 반복하곤 한다.
그런데, 위스키? 위스키에 대해서는 잘 알지도 못하지만 한 번도 경험해본 적이 없다. 그래서 더욱 생소하고 낯설고, 솔직히 선뜻 관심이 가지는 않았다. 하지만 신기하기는 했다.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세계로 들어서는 듯한 느낌, 전혀 나의 세상과는 다른 곳에 놓여 보는 경험이라고나 할까. 마치 선생님이 이끄는대로 별 관심없이 따라나선 견학에서 눈과 입이 벌어져 우아! 감탄을 내뱉는 학생이 된 듯도 했다. 더군다나 일본 여행은 한번도 가보지 못했다. 뼛속까지 집순이라 여행을 즐겨하지 않는 성격 덕에 시도조차 하지 않았었다. 헌데 이 책을 읽으며 아, 일본 여행을 가보고 일본 위스키를 마셔봐야겠구나, 싶었다(더 솔직히는 저 오크통들을 내 눈으로 직접 보고 싶다는 욕심도). 위스키, 일본, 그리고 일본 위스키에 과연 어떤 매력이 있는지 한번쯤은 직접 경험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의 관심과 애정이 아니고서는 이런 방대한 내용을 담아낼 수 없을 것이다. 저자의 위스키를 대하는 마음이 진심임을 이 책 한 권으로 여실히 알 수 있었다. 아무리 좋아한다고 해도 이렇게 총망라해서 책으로 엮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 단순한 에세이가 아닌 위본 위스키에 대한 과거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위스키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각 증류소까지, 그리고 인터뷰의 내용도 인상적이었다. 그냥 이런 곳이 있어, 이런 역사와 전통이 있어, 그리고 이곳에 가면 이런 특징이 있지, 정도로만 기술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저자가 느끼는 소중함이 배어있어 이 책에 더 마음이 기울었다. 누가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좋아서 자연스레 더 알고 싶어지고, 더 알려주고 싶어지는 마음, 그게 전해졌다(마치, 저자가 위스키를 앞에 놓고 밤새 신나서 조곤조곤 이야기하는 모습이 연상되는 듯도 했다).
그리고 일본이란 나라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됐다. 오랜 세월 하나에 몰입하여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바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끈기. 시대가 바뀌고 세대가 달라지면서 가장 쉬운 것이 변하는 것이라면, 이 책에서는 변하지 않는 것이 가장 쉬웠던 이야기가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루이틀에 뚝딱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쩌면 더 오랜 기다림과 긴장이 스며있을 것이며, 그런 시간이 쌓여 지금의 일본 위스키의 역사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공장장 하루 일과가 어떻게 되나요?/아무것도 안 해요. 좋은 위스키를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만 생각합니다.
위스키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인생은 여행입니다. 인생 여행 중에 위스키를 즐기는 여행도 함께했으면 좋겠습니다. 인생에서 위스키가 조금이라도 등장한다면 기쁠 것 같습니다.(124-127쪽_'이와타케 기미아키 공장장 인터뷰' 중)

인생 여행 중 내가 알지 못했던 여행지에 다녀왔다. 아마 이 책이 아니었다면 위스키 여행은 내 인생에서 한번도 가보지 못한 여행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누군가와 좋은 관계와 인연을 이어가기 위한 자리에서 한번 쯤은 위스키를 떠올리게 될 것 같다. 그리고 도전해보고 싶어질 것 같다. 위스키의 향과 맛이 나의 어떤 감각을 톡톡 깨워줄 지, 지금 무척 궁금하고 설렌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