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같은 나무 하나쯤은
강재훈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카메라가 향한 곳에 있는 그 어떤 생명체에게라도 폭력이 되지 않게 사진 찍기를 즐기자고. 나무를 꺾거나 풀을 뽑아내고 찍은 사진으로 진정 즐겁거나 행복하고 성취감을 느낀다면 그건 잘못된 사진임을 알아차리자.(216-217쪽)

저자가 갖고 있는 태도를 잘 보여주는 문장이라고 생각했다. 자연, 나무를 향하고 있는 저자의 마음은 어떤 경우라도 해를 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인간이 자연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듯하다.
이 책을 읽으며 가장 강하게 들었던 생각이기도 하다. 자연을 있는 그대로, 그리고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그 영향을 고맙게, 온몸으로 받아 안아야한다는 것. 인간이 자연을 인간의 관점으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는 것. 이것이 일평생 좋아하는 마음으로 자연을 사진에 담아내고자 했던 저자의 삶이었다는 생각이 들어, 감동적이었다. 이런 마음 정도는 되어야 자연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만 같아 나 자신이 작게 느껴지기도 했다.

산과 바다, 줄 중 하나를 고른다면 어디를 고를래? 질문을 받는다면, 나는 고민도 하지 않고 대답할 수 있다. 산! 산이 좋은 이유는 딱 하나, 나무가 좋기 때문이다. 사람이 많은 것은 참을 수 없지만, 나무가 빼곡하고 무성한 것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좋다. 그런 산을 가까이 두고, 사계절 변화를 때때로 살피며 살 수 있는 지금이 참 좋다(가고 싶을 때 5분 안에 언제라도 산의 흙을 밟을 수 있다는 건, 행운이다!). 그래서 이 책이 더 반가웠다.
솔직히 고백하면, 이 책의 글보다 사진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글을 읽을 때보다 사진에 머무는 시간이 더 길었다. 어쩔 수 없었다. 글보다 사진이 주는 감동이 더 컸다. 사실, 평소 사진을 좋아하지도 잘 찍지도 않는다. 사진을 잘 찍고 싶다는 생각을 가진 적도 없었다. 나 스스로도 사진 찍히는 것을 싫어하니까. 하지만 꼭 산에 가게 되면, 아름다운 자연을 보게 되면 손에 든 휴대폰을 꺼내지 않을 수가 없다. 그래서 내 휴대폰에는 나무, 산, 하늘, 구름 사진이 많다. 가끔 새와 곤충의 동영상까지. 이런 나이다보니, 이 책의 사진들이 더욱 와 닿았다.

모처럼 나선 숲길에서 만난 어떤 나무를 자신의 나무로 정해 보면 어떨까. 자주 찾는 곳이면 더 좋겠다. 마음에 드는 나무에 자신의 이름을 붙여 주거나 그게 조금 쑥스러우면 그냥 친구로 삼는 것 말이다.(176쪽)

그리고나서 결심했다. 쑥스럽지만, 나만 알고 있는 내 나무를 정해야겠다고. 친구 나무에게 내 이름을 지어주고 불러주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면 어디에 있는 나무를 정하면 좋을까, 책을 읽으면서도 우리 동네 나무, 우리집 뒷산의 나무들을 눈으로 그려봤다. 내일이든 모레든, 친구 나무를 찾아 동네 마실을 설렁설렁 다녀와야겠다고도 생각했다. 입춘이 금방 지났고 곧 우수가 올 테니, 봄을 준비하는 나무들의 움직임을 눈으로 코로 감각할 수 있도록 다녀와야겠다는 생각 포함해서.

다시 돌아가자. 마을 앞 서낭당을 지키는 한 그루의 나무가 되자. 나 혼자 잘 사는 게 아니라 마을이 함께 잘 살기를 바라는 버팀목. 묵묵히 할 일을 하며 자신을 낮추는 '언눔'이 되자. 과도한 욕심을 내려놓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실천하자. 그것이 거짓과 폭력으로 내 배를 불리거나 일확천금을 기대하는 것보다 '소원 성취'를 이루는 훨씬 빠른 길이다. 다 함께 잘 사는 세상을 위해.(174쪽)

올해 삶의 목표로 삼아도 좋을 글을 발견했다. 언눔, 배려하는 마음, 다 함께 잘 사는 세상. 한 그루의 나무가 되자고, 오늘 일기에 적어야겠다. 나무의 마음으로 세상을 조금 더 따뜻하게 감쌀 수 있는 내가 되어야겠다고, 올해의 다짐을 적어봐야겠다.

가끔 마음이 퍽퍽해질 때 이 책의 사진을 들춰봐야겠다. 나무가 주는 기운을 사진으로 받아 안고, 마음을 촉촉하게 가꿔나갈 수 있도록. 올해 초, 딱 필요한 책을 읽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