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푸어, 벽을 넘는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하우스 푸어 - 비싼 집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
김재영 지음 / 더팩트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집에 대한 소유개념이 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전쟁을 겪으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내왔기 때문에 내가 온전히 쉴 수 있고 정착할 수 있는 곳이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지금 이 시대에 집은 재테크 수단이나 투자 목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고 또 집을 가지더라도 정작 생활은 풍요롭지 못한 아이러니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우스 푸어 (house poor)의 극단적인 예를 보여주는 외국의 사례가 있습니다. 자영업자로 살던 중산층 남자가 가족을 죽이고 자살한 사건이었는데요. 그 이유가 바로 경기침체로 인한 경제적 압박감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무리해서 집을 샀기 때문이죠.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집값이 오를 것이라 생각해서 붙들고 있던 집이 빚이라는 짐이 되어 돌아오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이 아니면 영영 집을 갖게 될 수 없을 것 같아서라는 마음에 사람들은 대출을 받고 빚을 져서라도 집을 장만하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판교 대치동 등 실제 사례를 들어 부동산 거품에 대한 경고를 하고 있는데요. 재건축의 허와 실 등 재건축의 함정에 빠진 사람들과 허위 과대광고에 빠져 개발로 인한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이라 여기는 사람들의 사례도 싣고 있습니다. 이 책이 매력적인 이유는 두루뭉실하게 가치를 강연하기보다 실세 사실을 들어 팩트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정보들이 넘쳐나는 가운데 옥석을 가리기란 정말 힘든 일입니다. 실제로 부동산으로 돈을 번 사람들도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소수의 이야기 일뿐입니다. 입소문이나 언론매체의 이야기를 전부 신뢰하지 않고 현실을 바로 볼 수 있는 눈이 필요한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하우스 푸어는 단순히 개인의 욕망이 만들어 낸 현상일 뿐일까요? 왜 사람들이 이렇게 집에 집착하게 된 것일까요? 만약 우리나라가 사회적 안정망이 잘 보안되어 있고 개개인의 삶이 불안정하지 않다면 어땠을까요? 저는 하우스 푸어가 단순히 개인적인 욕망에서만 비롯된 것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사회풍토가 조장되도록 방치해온 정부의 탓이 더 크다고 봅니다. 구조적인 부분을 개개인이 혁신하기란 힘든 일입니다.

제대로 알지 못하면 올바로 대응하기도 힘듭니다. 이 책에서는 무조건적인 무소유의 삶을 강연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주객이 전도되는 현상을 막아줄 뿐입니다. 집이 당신의 인생을 사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인생에서 집이라는 것에 대해 어느 정도 가치를 투자할 것인가 그 가치대비 희생해야 할 다른 가치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 가를 알려줄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