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너무나 풍요로운 환경에서 살고 있다. 편의점이건 슈퍼이건 가게건 어디서든지 먹을 것이 넘쳐나고, 그것을 거리낌 없이 소비할 수 있으니 말이다. 게다가 남겨지는 음식들은 어쩌니 많은지 식당, 아파트 여기저기서 나오는 음식쓰레기의 양만 해도 어마어마 하다. 주변의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넘쳐나는 풍요로움과는 반대로 진흙을 구워 먹고 개미를 먹으며 생명을 연장하는 사람들이 있는 곳도 있다. 애초에 알고 있는 진실이었지만 깊이 관심을 가지고 있지도 않았고, 애써 그 진실을 알아가며 고민하고 싶지도 않았었다. 그러다 어느날 한 블로그에서 한 사람이 음식쓰레기통을 뒤져가며 끼니를 해결하는 사진을 보았다. 그 모습이 어찌나 충격적이던지, 한 사람에게는 아무렇지도 않게 넘쳐나는 것들이 왜 다른 한 사람에게는 인간의 존엄성마저 포기하게 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지경에 까지 이르게 하는 것인지 씁쓸한 감정이 들었다.


그래봤자 배부른 자, 여유가 있는 자의 값싼 동정심이나 잠시 스쳐가는 연민과 같은 감정이라고 치부할 수 도 있지만, 나는 이러한 불편한 진실을 알고 잠시나마 가책을 느끼는 것부터가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만나게 된 계기도 무지한 나의 지식을 조금이나마 깨우치고자 조금씩 이런 분야의 책도 읽어보자. 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불공평한 사회구조로 인해 일어나는 기아는 어느 나라에서든지 있기 마련이지만, 발전하지 못하고 내전을 겪는 국가들은 이루말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한 수준이며 국제기구의 원조나 구호활동에도 불구하고 해결의 끝이 보이지 않는 실정이다. 게다가 이러한 빈곤과 기아는 단순히 각 국가가의 경제수준의 발전 격차와는 별도로 자신의 이득과 기득권을 누리려는 이들, 그리고 사회적 구조의 모순에 의해 의도적으로 행해지고 있다는 사실에 다시 한 번 놀랐다. 이른바 밑빠진 독에 물 붓기식으로만 생각했던 나의 기아구조에 대한 생각은 터무니 없었던 것이었다. 굶주리는 사람들의 빈곤함은 그들 스스로의 타고난 운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타인에 의해 자신의 인간다운 삶의 권리를 빼앗기고 있었다는 사실을 시름시름 쓰러져 가고 있는 그들은 알고 있기나 한 것 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