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먹으면 왜 안 되는가? - 일상을 전복하는 33개의 철학 퍼즐
피터 케이브 지음, 김한영 옮김 / 마젤란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시간은 과연 존재하는 것인가? 여자와 남자는 과연 평등할까? 베짱이처럼 사는 것이 과연 나쁜 것인가? 별은 우리가 만드는 것인가? 등등 이 책에서는 멈춰있던 생각을 열심히 굴려야만 할 여러가지 질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물론 철학책이기에 다른 책보다 생각을 좀 더 많이 하면서 읽어야 하기는 하다. 궁금증이 꼬리에 꼬리를 물수록 고통은 크겠지만 한 가지를 풀고나면 그 즐거움 또한 클 것이다.

사람을 먹으면 왜 안되는가? 이런 질문을 주변사람들에게 한다면 당신은 4차원의 사고를 가지고 있는 이상한 사람으로 취급될지도 모르겠다. 당연히 원래부터 그래왔던 것에 대해 반기를 든 질문들은 그러게, 왜 그럴까? 하는 생각의 고리를 만들어준다. 질문에 대한 저자의 설명에 동의를 하거나 반대를 하는 것은 각자 판단의 몫이다. 

비행기 사고나 자연사로 죽은 사람을 먹을 수 밖에 없는 극단적인 경우 이외에 사람들이 식인풍습에 자발적으로 동의했다고 해도 인간이 인간의 유체를 먹는 것은 잘못일까? 우리가 동물을 먹기위해 사육하는 것처럼 사람을 사육한다고 하면? 상상만 해도 끔찍한 일이다. 저자는 일단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우리가 인위적으로 개인을 창조한다고 해도 그때문에 그 개인을 파괴할 권리를 갖지는 못한다고 이야기 한다. 

가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모든 생명이 존엄하다고 해서 인간을 사육하는 닭이나 소의 가치와 동등하다고 주장할 수 있겠는가? 사람을 닭이나 소의 가치와 동등하다고 주장하게 된다면 사람의 가치는 사육되는 고기나 살, 단백질 덩어리로 하락하고 만다.  그 순간 윤리와 도덕 질서는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완전히 옳다. 그르다로 단정지을 수 없는 문제이다. 하지만 결론이 나는 쪽은 결국 인간의 가치, 존엄성이 보존되는 쪽으로 매듭지어져야 할 것이다. 
 지금 사람을 먹는 것이 비 정상적인 행위로 간주되는 것 또한 강제적으로만 정해진 것이 아니라 대다수 보편적인 사람들에 의한 간접적, 암묵적인 동의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이러한 선택을 한 것이 아닐까.

- 개인적인 에피소드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오른 이야기 하나. 

 다른 예로 할례를 하는 사회에 대하여 국제적인 비난을 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강제로 막지는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접할때 마다 나는 조금 혼란스럽다. 그 사람들에게 만약 그것이 강제가 아니라 선택의 문제라면 그들이 할례를 하기 원할까? 동의의 절차가 제대로 구현된 것일까? 개인적으로 이러한 행동들은 정당한 자유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에 올바르지 못한 폭력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자신에 대한 존엄성과 가치를 스스로 지킬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인간이건만 어떻게 타인에 의해 이런 강제적인 폭력이 행해질 수 있는지 무섭기만 하다. 
  
 이런 경우가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문화라는 이름으로 지켜져야 할 경우인지 납득이 가질 않는다.  조선시대나 옛 시대에 여성들의 잃어버린 인권이 전통에 의해 억눌렸던 것이 시대를 지나 열린 사고로 차차 회복된 것 처럼 이러한 문제들도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토론을 통해 조금씩이라도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무릎팍 도사에 출연한 한비야 씨가 할례에 대해 한 이야기를 통해 그런 문화권에서 태어나지 않은 것만 해도 정말 감사할 일이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런 문제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와닿는 것들은 아니지만 좀 더 사회나 세계의 문제, 사람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