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은 삶의 반댓말이 아니다. 삶이 흘러 흘러 과정을 다 했을 때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종점일 뿐이다.  베로니카는 죽기로 결심하지만 실패한다.  병원에서 그녀는 왜 빨리 자신의 고통을 끝내주지 않느냐며 절규하지만, 그 곳에서 만난 사람들로 인해 조금씩 생각이 바뀌게 된다.  죽고 싶다는 생각이 살고 싶다는 욕구로 변하게 된 것이다. 자신에게 남은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을 자각했을때 그녀는 그토록 미워했던 어머니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남기고 싶어하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하지 못했던 많은 일을 하고 싶어 한다. 

 그녀가 죽기로 결심을 한 것은 더 이상 어떠한 욕망도 가질 수 없고 너무나 뻔히 들여다 보이는 삶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할 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그녀가 이루고 싶었던 꿈들은 부모님에 의해 억압되었고, 평범한 삶 이상의 것을 얻기 원했던 그녀의 바램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고통을 느끼는 것보다 무서운 것은 이처럼 살아 숨쉬는 생명으로서 존재할 가치를 상실하게 하는 무기력함이 아닐까.

 우리는 가끔 삶이 너무나 지겹다고, 정해진 굴레안에서 지금 처한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갈 것이라고 자책하곤 한다. 하지만 평범한 삶이 결코 가치가 떨어지는 삶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평범한 삶이 아니라  그 안에서 어떤 의식을 가지고 사느냐이다.
  베로니카가 병원에서 겪게 되는 일련의 과정들은 바로 그녀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답이었다. 좌절된 피아니스트의 꿈은 사랑하는  에뒤아르를 위한 연주로 꽃피워졌고 오르가즘을 통해 자신의 욕망의 끝이 어딘지 느끼게 되었다. 타인이 이끄는 목적지가 아닌 주체적인 의식을 가지고 삶을 이끌어나가게 된 것이다. 병원에서 그녀는  더 이상 타인을 위한 가면을 쓸 필요가 없어졌다. 


 이처럼 베로니카는 사회에서는 미처 보지 못했던 자신의 자아를 발견했다. 빌레트 정신병원에서 만난 사람들로 인해 말이다.  또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욕망이지만 정상적인 사회에서는 추하다고 취급될 수도 있는 부분까지 모두 수용한 에뒤아르와의 사랑은 그녀가 병원밖으로 나갈 수 있는 용기를 주었다.  정신병원에 수용된 미친남자와의 사랑. 그것은 금기와 다른 없는 일이며 미친 일이라고 치부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마리아로 인해 금기된 것은 결국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낸 경계일 뿐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 그녀는 진정한 자유인이 되어  그 어떠한 것도 두려워 하지 않게 되었다. 결국,  그녀는 죽음으로 가는 과정을 좀 더 가치있고 인간답게 풀어가는 답을 얻게 된 것이다. 

 죽음으로 인해 삶의 열정을 되찾은 베로니카 이외에도 주요 등장인물인 제드카와 마리아, 에뒤아르는 빌레트를 떠날 결심을 하면서 새롭게 자유를 찾은 용기 있는 사람들이다.  빌레트에 머물면서 고통과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마냥 행복한 일이 아닌 것을 알았기에 다시 세상속으로 걸어가는 그들의 모습은 빌레트 병원안에 남아 있는 사람들과 무척 대조적으로 보인다. 형제클럽의 회원들은 자신들은 사회에 있는 사람들 보다  이 곳에서 더  행복하다며 마리아가 미쳤다고 비난한다.  병원 안에서는 사회와 달리 적당히 보호받을 수 있고 실수를 해도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면서 말이다. 하지만 수동적으로 주어지는 제한된 자유를 과연 행복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현실은 고통스럽다. 하지만 살아있기에 그 고통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죽음의 끝에 서면 아무것도 느낄 수 없다. 작가가 소설을 통해 전달하고 싶었던 것은 죽어 있는 삶을 살지 말고 열정적으로 삶에 뛰어들라. 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 깨어 있는 삶을 사는 주체적이고 존엄적인 한 인간으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