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과 다른 나 ; 잇 걸
임기양 지음 / 마젤란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이 책에서는 착하게 살아야 된다, 남을 배려헤야 한다, 피터지게 일하고 공부해야 한다. 는 말은 없다. 대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으로 이기심을 가질 것을 권한다. 다시 말해 타인과 환경에 휘둘리는 것을 그만두고, 자기 중심으로 생각하라는 것이다.
 이기심, 이 단어 하나만 놓고 보면 얼마나 뻔뻔한 단어인가. 하지만 이 책에서는 이기심을 자기 자신을 위한다는 측면에서 자기자신의 에너지를 덜 소모시키게 하고, 보호하는 방법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는 참다참다 홧병이 나는 것보다는 차라리 싸가지 없는 편이 낫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달콤한 말을 원한다. 적어도 진실은 A이지만 사람들로 부터 B라는 말을 들기를 원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친구에게 나 너무 뚱뚱한 것 같아. 옷사러 갈때 너무 스트레스 받아. 라고 말한다면 그 사람은 친구에게 아니야, 너 별로 안뚱뚱해. 라는 말을 듣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돌려가며 말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결국 이러한 위로는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타인의 위로와 자기위안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절대 단점을 고칠 수가 없다. 야, 너 왜 이렇게 살쪘어. 주말에 빈둥대지 말고 헬스클럽에나 좀 다녀! 라는 식의 충고는 처음에는 기분나쁠 수도 있겠지만, 일종의 자극이 되어 자신이 타인에게 하소연하던 단점을 고칠 수 있는 계기가 될수도 있는 것이다.

 자신이 무시당했다고 생각했을때, 스트레스를 받았을때 누구나 한번쯤은 욕이라는 것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나 욕을 부정적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아무리 그래도 어떻게 저런 말을 할수가 있지? 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욕은 꼭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해도 좋다. 당신을 괴롭히는 상사, 기타 인물들을 향해 욕을 해서 그 화가 가라앉는 다면 말이다. 하지만 한가지 명심할 것은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약해져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욕도 마찬가지이다. 나보다 못한 사람을 욕하며 조롱하고 낮추어 보는 것은 매우 치졸한 짓이다. 자기보다 아래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비방하거나 조롱하는 것을 즐긴다면,  자신의 수준이 딱 그 정도의 그릇밖에 되지 않는 다는 것을 뜻한다.  이런 사람은 발전할 가능성이 없다. 아래를 쳐다보며 그 아래보다는 낫다는 알량한 자존심과 자기위안으로 그 자리에 계속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사회적으로 여자의 수다에 대해 여자 셋이 모이면 접시가 깨진다는 둥 할일이 없으니 저러고 있지. 라는 부정적인 시선들이 많은데, 저자는 수다가 단순히 비생산적이고 소모적인 활동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수다의 경계는 무궁무진하다. 생활신변잡기, 직장이야기, 패션이야기, 연예계이야기, 영화, 화장품, 건강, 이성관계 등등. 말 그대로 생활백과사전이 따로 없다.

여자들은 언어적 측면이 발달되어 있어 커뮤니케이션에 능수능란하다. 수다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작용중 하나로 서로 정서적 감정을 교류하고,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는 수다 속에서 자연스럽게 정보를 주고 받게 되는 것이다.

잇걸은 좋지 않게 생각했던 것들에 대한 통념을 깼다는 측면에서 유쾌한 책이었다. 마치 옆집언니와 밤새워 수다를 떨었다는 느낌이 들만큼 편안했던 글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