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스틱 개미지옥 - 2007년 문학수첩작가상 수상작
서유미 지음 / 문학수첩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열흘 동안의 판타스틱 세일. 이 세일 기간 동안 백화점안에서는 어떤 판타스틱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던 것일까? 이 소설은 청소부 아줌마가 한 여자를 화장실안에서 발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다이어트를 하던 같은 판매사원이 쓰러진 것이 아닐까 해서 달려온 유경은 쇼핑백을 움켜잡고 쓰러져 있는 이 여자의 검은 매니큐어를 어디선가 본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여자의 사인은 질식사. 첫 부분만 보면 추리소설이나 스릴러 같지만 실상 본격적으로 소설을 읽다보면 긴장감보다는 씁쓸함이 더 와 닿는다. 작가의 현미경같이 세밀하고 현실적인 묘사에 가슴이 뜨끔해지며 정말 이 사람들이 내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들인 것처럼 생생하게 느껴진다.

 

사건의 중심에 선 반짝이는 카디건

 

등장인물인 지영, 소연, 영선, 정민, 윤경, 미선, 현주 이 모든 여성들이 탐하면서 갖고 싶어 하던 물건이 바로 이 카디건이다. 매장에 내놓자마자 불티나게 팔려버린 이 카디건. 이 카디건을 모두가 갖고 싶어 했던 것은 그 옷이 너무나 아름다웠던 탓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갖고 싶어 한다는 것을 손에 넣었다는 것에 대한 만족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들 중에는 카디건을 손에 넣은 사람도 있고 넣지 못한 사람도 있었다. 그것이 비극의 시작이었다. 이 반짝이는 스팽글이 달린 카디건 하나 때문에 검은 매니큐어를 칠한 여자의 소리 없는 비명이 일어날 줄 누가 상상이나 할 수 있었으랴.

 

환상에 대한 일그러진 집착

 

백화점은 속삭인다. 이건 특별한 거야. 이걸 가지면 너도 특별해질 수 있어. 그런 대우를 받을 수 있어. 그러나 이 속삭임은 오직 “돈”을 가진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필요한 건 오직 “돈”뿐이야. 백화점은 이러한 현실을 너무나도 적나라하게 깨우쳐 준다.

<백화점이 그리워졌다. 거기서는 언제나 정당한 서비스를 요구 할 수 있는데. 백화점에 가면 민주주의가 실감난다. 어디에 살든, 범죄자든 인간쓰레기든 물건 값을 지불 할 능력만 있으면 물건 앞에서는 모두 평등하다. - 본문 속 현주의 말 ->

백화점은 그 사람이 나이가 적건 많건 생김새가 이상하건 예쁘건 간에 차별을 두지 않는다. 물건 값을 지불 할 능력만 있으면 물건 앞에서 모두 평등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평등은 사막의 신기루와 같이 허망한 것이다. 물건을 사고 나면 곧 이 신기루는 사라져 버리고 남은 것은 카드 청구서와 가난한 지갑뿐이기 때문이다. 소설 속 인물들은 이것을 알면서도 백화점이 뿌려대는 매력적인 환상의 가루에 도취되어 점점 그곳을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돈이 없어 허덕이면서도 카드를 돌려막고 매춘을 하는 것은 채울 수 없는 정신적인 고독함, 텅 빈 마음에서 오는 외로움을 다른 누군가와 나눠 가질 수 없는 것에서 오는 집착인지도 모른다. 

<왜 발밑을 쳐다보지 않는지 모르겠다. 저러다 언제 쩍하고 바닥에 금이 갈지 모른다. 그때는 아무도 구해 줄 수가 없다. - p133>

이러한 인물들의 모습은 개미들이 곧 죽을 운명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개미지옥으로 스스로 들어가는 것과 같다.

 

 

결핍에 시달리는 인물들

 

각 인물들은 모두 결핍에 시달린다. 금전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대학이라는 더 나은 학력이었다면 이런 곳에 근무하지 않을 텐데. 하며 학력 콤플렉스에 빠진 미선, 오로지 돈과 물건에 대한 집착으로 망가져 버린 영선, 예쁜 옷을 입겠다는 일념으로 다이어트에 집착하는 지영, 명품화장품 때문에 전전긍긍하는 정민. 자신의 직업에서 오는 열등감과 스트레스를 물건을 사며 느끼는 우월감으로 푸는 현주까지. 이 들은 바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꼭두각시처럼 허우적거리는 지금 현대인들의 모습이다.

 

그래도 세일은 계속된다.

 

소설에서 현주는 검은 매니큐어를 칠한 채 화장실 첫 번째 칸에서 지영은 다이어트로 인한 탈진상태로 쓰러져 화장실의 마지막 칸에서 발견된다. 백화점은 아직도 세일 중이었고 계절마다 이 세일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사실 백화점이라는 데가 좀 그렇다. 사람이 아니라 물건이 주인공이다. 직원들은 물건을 파는 도구에 불과하다>

사실 물건은 사람이 만들어낸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이 물건이 사람들을 멸시하고 하찮게 보게 되었다. 뒤죽박죽 세상에 가치라는 것은 자본주의 논리만을 따라가고 있다. 이것이 바로 지금의 물질만능주의시대가 만들어낸 허상이다.

<이게 바로 자본의 힘이라는 거야. 없는 놈들은 그저 큰 놈 밑에 붙어서 한 푼이라도 모을 생각을 해야 돼. 지깟 것들이 무슨 수로 백화점을 이긴다고 그래. p80>

소설 속 등장하는 노인의 말이다. 이 노인은 백화점에 세를 들어 장사를 한다. 매춘을 알선하고 상품권을 떼다 주면서 수납을 받아 챙기는 이 모습이 낯설지 않은 것은 왜 일까. 농성하는 다른 상인들에게 물건을 팔아 이득을 보면서도 백화점편을 드는 이 노인의 모습은 자본주의 사회에 순응하여 살고 있는 완벽한 자본주의 그 자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