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뇌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지극히 주관적인, 그래서 객관적인 생각의 탄생
이상완 지음 / 솔출판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공지능이라는 말은 이제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단어가 되어버렸다. 뭘 해도 인공지능이 들어가지 않는곳이 없다. 과거 밥솥이나 냉장고 같은곳에서 흘러나오던 음성만으로도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적용하던것을 생각하면 웃음이 나온다.

대학생이 된 아들의 꿈이 AI를 전공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어릴때부터 코딩이나 로봇같은 과학의 영역이 그리 낯설지 않았다. 게다가 주식시장에 불어닥친 4차 기술혁명이 우리 평범한 사람들에게도 이제는 그렇구나 하는 편안함이 한층 더 높아진 느낌이다.

게다가 몇년전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알파고는 바둑계의 최고 기사들을 모두 차례차례 꺾으며 인공지능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잘 보여주었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든다. 과연 인공지능은 인간을 뛰어넘은 것일까?

이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먼저 최근 인공지능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 지 알 필요가 있다. 이런 의문들과 관련해서 최근 인공지능에 관련된 책 한권을 읽었다.
"인공지능과 뇌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책에서는 그러한 부분을 최대한 풀어서 독자에게 설명한다. 이해하기 쉬운 간단한 게임에 비유해서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풀어주는데 이는 꽤 흥미롭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수학 용어, 컴퓨터 용어가 굉장히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흥미가 있지 않다면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이렇게 인공지능과 사람의 뇌를 구분해서 설명해주는 부분을 통해 인공지능은 왜 사람이 쉽게 할 수 없는 일은 잘 해내지만 쉽게 하는 것은 하지 못 하는지 이해시켜준다.

또한 이것들로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우리 뇌가 현재 아주 자연스럽게 해내는 것들은 대부분 자연의 진화가 쌓임으로써 생긴 능력일 거라는 견해를 바탕으로 본다면, 인공지능은 기본적으로 우리가 가진 관점과는 꽤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는 명백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 뇌를 연구함으로써 진화의 결과를 밝혀낼 수 있다면 인간의 관점에서 답을 내주는 인공지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나는 이러한 가능성들을 보며 언젠가 미래에는 충분히 인공지능도 사람과 같은 인격으로 구분되는 세상이 올 수도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는 결국 우리가 우리의 손으로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내는 첫걸음이 될 수도 있지 않나하는 스릴있는 상상으로 이어진다. 결국 인공지능과 뇌는 연구할수록 신에 가까워지는 과정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은 무한한 가능성이 높이 열려있는 세상이다. 그럼에도 깊숙이 우리 삶으로 들어와 있는 시간이다. 세상이 변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보완해주는 보완이 될 것인지 오히려 우리 인간을 뛰어넘는 또하나의 세상이 될것인지 설레임과 두려움이 교차한다.

그럼에도 긍정과 희망을 먼저 기대한다. 그렇게 우리는 한발 더 빛나는 그곳으로 갈 것이다.
참으로 인문형인 나에게도 인공지능은 멀지 않다. 이제 세상은 모든 영역이 과학의 기능과 발전으로 흡수되는 시간이 되는듯 하다. 이 모든 기술이 인간의 삶과 풍요로움에 한점 마중물이 되길 기도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