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이 식사합시다
이광재 지음 / 시공사 / 2023년 11월
평점 :
[나와 밥] 같이 식사합시다_신간 소개

"세상도 정치도 좀 푸근해졌으면 좋겠다"고 이광재님이 말한다. 그가 살아온 시간들을 먹거리와의 추억으로 치환시켰다.
먹거리, 함께 밥 먹으면 식구가 된다. 이 추억 속에 많은 사람들이 있고 결국 정치가 있다. 정치와 밥, 함께 먹는 식구가 되는 과정이 아닐까, 이 책이 그런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이광재님은 강원도 평창에서 지구별 여행을 시작했다. 스물세 살에 노무현을 만나 함께 꿈을 꾸었다. 문명사, 세계 질서, 미래 산업, 기술에 관심이 많다.
작은 이야기들 속에 삶이 있고 공통 분모가 있고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깨달음이 있다.
맛과 멋은 같은 의미로 느껴질 때가 많다. 맛을 그리워하는 저자의 마음이 느껴졌다. 이광재님의 '맛'속에는 시골의 맛, 어른들의 맛, 고생의 맛, 동행의 맛, 뜨겁게 살아온 맛들이 녹아 있었다.

소박해서 좋았다. 도리뱅뱅이 요리 속에 살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과의 추억도 좋았고 시절이 하 험할 때 힘들게 살았던 때 먹었던 용광로 김치찌개 맛을 그리워하는 저자의 마음이 느껴졌다. 고생하시던 엄마와의 추억 가득한 엄마표 두부도 먹고 싶었다.
공부하는 이광재님을 만날 수 있었다. 공감하는 저자를 만날 수 있었다. 더 열심히 미래를 건설하고자 하는 저자도 만날 수 있었다.
저자가 살아온 세월의 무게와 고통과 고뇌가 느껴졌다. 참으로 힘든 시절들을 지나 여기에 이르렀다. 저자는 30년 넘게 정치를 하면서 늘 '정치란 무엇인가' 고민해 왔다고 말한다.
정말 자신이 제대로 된 정치를 하고 있는가 라는, 존재에 대한 성찰과 반성의 마음을 갖는다고 말한다.

저자는 생각한다.
국민을 먹고살게 하는 일이 정치다. 국민이 '한솥밥을 먹는다'는 동질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정치의 하나의 목표라고 생각한다. 먹는 것과 정치는 뗄 수가 없는 것이다. 지금 '국가는 성공했지만 국민은 불행하다'라는 평가를 듣고 있다. 국가가 성취한 성과에 비해 국민의 만족도가 현격히 떨어진다. 경제 규모는 세계 10위지만 '삶의 질'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2022년 조사에서는 OECD 38개 국가 중 36위였단다.

저자는 국가는 잘 사는데 국민은 불행하게 느끼는 이유 중 하나로 네 탓, 남 탓만하며 싸우기 바쁜 모습을 들었다. 각자 자리에서 반성하며 돌아보지 않고 자숙하지 않고 상대 탓만 하면서 분노와 갈등이 끊이지 않는 모습도 지적한다.
성장도 복지도 함께 가야 한다. 지도자의 역할은 시대 정신과 국민 요구를 잘 파악하고 사회를 조화롭게 이끌어가는 것이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그가 말한다.
"골목에 다다르면 길이 끝난 것처럼 보이지만 모퉁이를 돌면 또 다른 길이 나온다. 길이 없으면 만들면 된다."
이 리뷰는 리뷰어스클럽을 통해 시공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같이식사합시다 #이광재 #시공사 #리뷰어스클럽 #에세이 #블루노트책방
어찌 되었든 힘이 있어야 국민을 지킬 수 있는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달라고 용인한 그 ‘힘‘이 오히려 국민을 옥죄는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 P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