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밥상 - 우리의 밥상은 어떻게 만들어져 왔을까
김상보 지음 / 가람기획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밥상_왕에서 서민까지 조선 민중의 밥상 들여다보기 




우리의 현재 음식문화는 조선시대를 이어받아 지금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러나 1910년 한일합방에서부터 1950년 한국전쟁, 이후 경제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전통문화 말살 기간까지 합하면 오랜 문화적 공백기가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조선 민중의 밥상, 음식생활문화를 조명해 본다. 




조선왕조의 음식문화는 다섯 시기로 나눈다. 조선전기에서 임진왜란까지, 임진왜란 이후에서 병자호란까지, 병자호란 이후에서 정조조까지, 순조 이후에서 갑오경장 이전까지, 갑오경장 이후에서 한말까지. 그 사이 외세 침입은 세 번, 그때마다 음식문화는 크게 달라졌다. 이 책은 임진왜란 이후부터 한말까지, 음식문화와 조선민중의 삶은 어떤 관련이 있고 어떻게 음식문화가 오늘에 이르렀는지 기술한다. 이는 학문적 관점임을 미리 밝히고 있다. 




궁중음식문화 이해를 위해서는 선행지식들이 필수적이다. 먼저 궁중음식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임란 이후 연행사와 조선통신사에 의한 식품 수출입, 역관부 편중에 따른 중인계급 삶의 향상, 1800년대 이후 청나라와의 인삼무역에서 생겨난 거부상인과 부의 문제, 양반의 몰락과 양반 계층의 증가로 무너지는 계급질서, 한말 궁중음식의 요릿집 음식화에 따른 왜곡과 변질 등 이 모든 것들이 음식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소홀히 다룰 수 없다. 




인간이 본격적으로 조리를 시작한 것은 약 1만 년 전, 한반도에 농경이 정착되지 않은 신석기 초기에는 참마, 토란, 칡, 고사리, 도토리, 밤 등이 식량이었다. 이 문화를 조엽수림문화라고 한다. 한반도 조엽수림문화는 신석기와 청동기를 거치면서 동남아 열대의 토란과 참마를 받아들이고, 닭, 돼지 등도 받아들여 가축으로 사육했다. 쌀, 좁쌀 등은 아프리카 사반나 농경문화로부터, 밀, 보리, 무, 배추, 마늘, 소 등은 이집트, 이탈리아, 터키, 이란, 이라크 등에서 전파되어 이렇게 크게 4 종류의 농경문화가 혼재된 것이 우리의 복합적 밥상문화를 이룬다. 




먹거리는 건강과 직결된다. 조선의 밥상은 건강한 밥상이었다. 우리의 지금은 어떨까. 이 책을 읽고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진지한 사유의 장이 펼쳐지면 좋겠다. 

이 책을 우리나라 먹거리의 역사가 궁금한 이들에게, 음식문화와 얼마나 많은 것들이 연결되어 있는지 궁금한 이들에게, 음식에 대한 학술적 공부를 하는 이들에게 추천합니다.


이 리뷰는 북유럽카페로부터 가람기획의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조선의밥상 #우리밥상은어떻게만들어져왔을까 #김상보 #가람기획 #북유럽카페 #신간소개 

식생활 문화도 예외가 될 수 없어서 어떠한 음식문화가 얼마나 왜곡, 변질되어 왔는가도 모른 채, 현재 우리 눈앞에서 전개되고 있는 음식문화가 우리의 정통문화로 알고 있는 게 오늘의 현실입니다. - P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