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위대한 왕 논술대비 초등학생을 위한 세계명작 116
니콜라이 바이코프 지음 / 지경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랑이가 나와서 재밌엇고
그곳에서 가장 강력한 호랑이인 왕 의 인생을 보여주는 책이다. 한번 읽어보면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좌충우돌 재판이야기 6 - 바로미와 함께하는
서울교육대학교 법교육연구소 지음, 극동만화연구소 그림 / 사법발전재단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읽은 책은 좌충우돌 재판이야기 시리즈의 마지막인 6편이다. 대법원과 헌법에 대해서 나오며 법을 좋아한다면 한번 일어보면 좋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좌충우돌 재판이야기 1 - 바로미와 함께하는 좌충우돌 재판이야기 1
서울교육대학교 법교육연구소 지음, 극동만화연구소 그림 / 사법발전재단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오늘읽은 책은 좌중우돌 재판이야기 이다.
우리 인간은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법을 만들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사람을 죽인자는 자신도 죽는 다는 법이 있었다. 그런데 씨름을 하다가 실수로 사람을 죽인사람은 똑같은 벌을 받아야 할까? 이런이유로 법은더 다양하고 많아졌다. 우리나라에 가장 기본이 되는 법은 헌법이다. 헌법은 법중의 법으로 모든 법은 헌법의 영향을 받는다. 헌법 제1조 1항에는 이런 내용이
적혀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 이며 모든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라는 말이다. 이 내용이 말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주인은 국민이다라는 것이다. 그래서 대통령도 우리가 뽑은 국민의 대표라고 할수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사 시리즈는 10번 읽어도 질리지 않는다. 이번에 내가 읽은 책은 why?한국사 천재와 기인이다. 이책은 역사에 나오는 많은 천재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일단 첫번째 천재는 바로 최치원이다 최치원은 신라시대의 천제이다. 그는 밤에 졸지않고 공부를 하기위해서 머리카락을 천장에 달고 공부를 하였다.
하지만 신라에서의 신분제도 때문에 당나라에서 아주 성공한 사람이다. 당나라 황소의 난때는 황소격퇴문 이라는 글을 써 발란을 잠재우는등 엄청난 천제였다. 하지만 신분제도 때문에 성공하지못하고 나중에는 절에서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시대를 잘못타고난 천재라고 할수있다. 그다음 천제는 최승로 아다 최승로는 신라가 망하고 고려가 새워질때 태어났다.
6살때 태종대왕 앞에서 논어를 줄줄꾀어 사힘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낡은 재도들을 새로 바꾸어 고려의 기초를 닦았다고 할수있다.그다음 천제는 김시습이다. 김시습은 어릴때 뛰어나게 시를 잘썼다.그의 시를보고 세종도 놀랐다.세종은 어린 김시습이 에게 비단을 내려 그비단을 어떻게 가져가는지 보았다.그러자 김시습은 그비단들을 연결하여 허리춤에 달아서 들고가였다. 하지만 단종이 왕위에서 쫒겨난 후 머리를 깍고 절로 들어가 스님이 되었다. 이렇게 천제들은 좋은 대접을 받아야 하지만 천재들을 최후는 거이다 비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평소에 한국사에 관심이 많아서 한국사 관련된 책은 많이 읽는다. 이번 에 읽은 책은 why?한국사 법과 형벌이라는 책이다. 이책에서는 석기시대. 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까지의 형벌이 나와있다. 우리가 잘 알지못하였던 형벌부터 우리가 잘아는 형벌까지 잘나와있다. 일단 석기시대부터 시작해보자 석기시대는 공동체 생활이었기 때문에 잡은것은 똑같이 나누어 먹었다. 그를 어긴사람들은 부족에서 쫒겨나는 형벌을받았다. 형벌이 아주 엄해진 시대는 삼국시대다
특히 부여의 벌은 아주 엄격했는데 일단 사람을 죽인자는 사형에 처한다. 물건을 훔친자는 그 물건의 12배를 갚고 그집의 노비가 된다등 벌이 아주엄격하였다.그 다음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이다. 통일 신라의 벌도 삼국시대의 벌과 비슷하다. 그다음은 고려시대 고려시대는 통일 신라때
보다 법이 들 엄격했다. 그런데 고려시대에서 아주엄하게 처벌하는 벌들중에 반역죄 상건죄 였는데
상권죄는 반역죄를 재외한 부모의 다른죄를 고발하면 사형이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야 법에 기틀이 다져지기 시작하였다. 조선의 법은 태형.장형.도형.유형.사형 이렇게 5가지 였다. 태는 주로 가벼운 별에 속했다. 부모상중에 잔치를 하면 태30대 길거리에 오물을 버리면 태20대 무단결근하면 10대였다. 장형은 중죄인을 다슬 일때 쓰였다. 곤장을 사용할수 있는 관리도 정해져 있었다. 포도대장. 통제사 병조판서들만 곤장을 사용할수 있었다. 그리고 도형은 죄인에게 중노동을 시키는형벌이고 유형은 죄인을 유배시키는 형벌. 사형은 죄인의 목숨을 빼았는 형벌이었다. 지금 내가 조선시대에 태어나지 않아서 다행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