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홍 - 彩虹 : 무지개 ㅣ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18세기 독일의 철학자 칸트는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을 수단으로 대하지 말고 목적으로 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간을 물건이나 상품처럼 수단으로 사용하지 말고 그 자체로 존중받는 하나의 목적으로 대하라는 뜻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인류는 수 많은 인간을 수단으로 전락시킨다. 아프리카에서 잡혀온 수많은 흑인은 강대국들의 ‘노예’라는 수단으로 전락하였고 뿐만 아니라 계급주의 사회에는 항상 노예가 존재하였다. 불과 백여년 전까지만 해도 여성 또한 남성들의 수단에 불과하였으며 이 외에도 인간이 수단으로써 존재한 사례는 셀 수 없이 많다. 그렇다면 과연 위에서 언급한 사람들처럼 하층민만이 수단으로 전락하였는가? 아니다. 잔악한 인간이 인간을 도구로 생각하는 데에는 지위고하가 없다. 필요하면 누구든지 수단으로 전락시킨다.
조선시대 세자의 아내라고 하면 일반인들은 쳐다도 볼 수 없는 높은 신분이다. 얼핏 생각하면 모든 것을 가진 행복한 여인이라고 생각될지도 모르나 채홍은 그렇지 않았다. 그녀는 그저 남성위주사회에서 하나의 수단으로 존재할 뿐이였다. 세자와 혼인하여 궁안으로 들어갈지에 대한 그녀의 의견따위는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 그녀의 집안에서는 권력을 위해 그녀를 하나의 수단으로써 궁궐에 들여보낸 것 뿐이다.
인간이 하나의 목적으로써 존재하지 못하고 도구로 전락하게 되면 그 인간은 그저 자신의 의지없이 존재하게 될 뿐이다. 남들이 휘두르는 대로 움직이는 칼처럼, 망치처럼. 하지만 채홍은 인간이였다. 도구가 아니라 스스로 목적으로써 존재하는 인간. 그래서 채홍은 자신의 의지가 있는 존재였다. 외로웠고, 사랑받고 싶었고, 스스로 사랑을 찾아 나섰고, 어쩌다 보니 그 대상이 사회에서 금기로 여기는 동성이였지만 자신의 존엄성을 위해 스스로 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사회는 개인의 존엄성을 무참히 짓밟는다. 통제되지 않는 개인은 위험요소요 불협화음이다. 사회의 지배계층은 통제하기 쉬운 균일한 인간상을 원한다. 그리하여 개인을 도구로 전락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결국 채홍이라는 개인은 사회에 의해 처단 받는다.
작가가 아주 먼 옛날 어느 레즈비언(비하의 의도 절대 없음, 다른 용어를 모름)의 이야기를 굳이 다시 꺼낸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히 ‘레즈비언은 아주 먼 옛날부터 존재하였다. 따라서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다.’ 일까? 그럴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 몇 백년 전의 이야기가 아직도 우리에게 가슴아프게 다가오는 것은 아직도 이 사회가 조선시대처럼 개인을 도구로 전락시키려 하고 있다는 뜻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