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과 천황
카리야 테츠 지음, 슈가 사토 그림, 김원식 옮김 / 길찾기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우연히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만화라는 선입관 때문인지, 나름 일본 역사에 대해서 안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인지 그냥 일반 만화 보듯 별 생각없이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만화라고 해서 가벼이 볼 책은 아니었다. 미처 알지 못했던 것도 알게 되었고, 여러가지로 생각해 볼 거리를 많이 던지는 책이었다. 일본인만 아니라...현대인 모두에게...

내용은 생략하자. 작가의 의견에 완전히 동의하지 못하는 몇 사항만 짚어 보겠다.

우선 결론이 의아하다. 내용상 천황제 폐지를 주장해야 옳을 듯한데 작가는 국민투표 등을 통해서 천황제를 헌법에서 삭제하는 것을 시작으로 근대천황제(상징천황제)로 비롯된 여러 폐악들을 벗겨내자고 이야기 하면서, 동시에 이것은 천황제의 전면적인 폐지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유신이전의 천황제로 돌리자고 주장한다. 일견 모순적이고 현실적으로 완전 폐지보다 더 애매한 상황을 초래하는 결론을 주장한 이유는 무엇일까. 

내 생각에는 작가가 근대천황제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그리고 그것이 성립이 얼마나 허구적인가를 보여주는데 몰두하여 근대천황제를 유신 이전의 천황제와 너무 단절적으로 보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분명 일본 역사상에서 천황의 존재는 미비했었지만 언제든지 근대천황제로 나아갈 수 있는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었다고 봐야한다. 일반 백성들이 천황의 존재를 몰랐다는 것을 강조하지만, 그 어느 신분제 사회에서도 백성이 자신의 명목상의 지배자를 아는 것이 중요하지는 않았다. 조선시대의 백성들도 한양에 왕이 있다는 것은 알았겠지만, 그래도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무서운 이들은 지주양반과 고을원님이었을 것이다. 결국 중요한 점은 유신이전의 일본 민중이 천황을 어떻게 여겼는가가 아니라 지배계급에게 있어서 천황이란 무엇이었나가 더 중요한 문제였던 것이다.

근대천황제를 일본의 특수한 요소로만 보는 시각을 세계사적으로 확대해 보면 2차대전에 대한 설명에서는 반대로 히틀러와 무솔리니의 개인적 요소를 필요 이상으로 강조하게 된다. 일본의 천황과는 분명 다르다. 하지만 이런 시각은 반대로 모든 책임을 히틀러 개인에게 돌려버릴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한다. 실제로 전후에 독일에서는 나치시대를 "독일사의 특수한 시대"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그러나 반론이 많이 제기되고 있는데, 결론적으로 나치의 지배와 같은 시기가 히틀러 같은 일탈적인 요소에 의해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근대의 흐름 속에서 하나의 가능성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사실 한권의 만화에 이런 저런 이야기를 다 담아낼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다만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만화니까 이렇게 작가와는 약간 다른 시각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