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림칠현, 빼어난 속물들
짜오지엔민 지음, 곽복선 옮김 / 푸른역사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그러려니 생각하는 죽림칠현의 모습은 속세와는 초연하게 죽림에 머물던 현명한 일곱 노인―때로는 신선의 모습을 닮은―들일 테다. 그러나 그들은 실제로 세상일과 결코 초연하지도 않았고, 대부분 죽림에 머물던 시기도 늙어서가 아닌 정계에 출사하기 이전이었다. 그들이 논했던, 그리고 그 시대의 주요 담론이었던 청담이란 도가적 사색의 겉모습을 띠고 있지만 종국에는 청류와 탁류로 사람을 구분하는 인물평, 나아가 그들 가문에 대한 평이었다. 나는 대학생 때 중국 고대사와 중세사 등의 수업을 몇 번 들어서 죽림칠현의 이런 측면들이 생소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독자들의 경우에는 이런 사실을 쉽고 재밌게 접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이 책은 읽을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게다가 이 책은 죽림칠현의 7명에 대한 단순 전기가 아니라 여러 중요 인물들을 두루 포함하여 위진 시대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사실 이 시기는 삼국지연의에서 후반부에 간략하게 다루는 시기라 우리들에게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한 시기였다. 그런 시대를 연대기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그 시대를 살아간 인물들의 모습을 생생히 되살려 더 생동감 있게 우리에게 펼쳐 놓은 것이다. 더불어 당시의 인사제도 등의 설명도 적절히 곁들여 막부체제로 설명될 수 있는 위진 시대의 정치제도적 측면도 두루 살펴볼 수 있다. 연의의 뒷부분 50여년이 너무 간략히 다루어졌다고 생각했던 분들에게도 재밌는 책이 될 듯하다.

 

  하지만 저자 본인이 생각한 죽림칠현은 어떠한 사람이었을까? 그런 측면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칠현의 글과 동시대의 평가, 나아가 중국역사 속에서 그들에게 내려진 여러 평가들을 제시하고 있다. 뭐랄까... 저자 자신도 죽림칠현에 대해서 '청담'을 논한다고 할까... 나 개인적으로는 청담이란 그리 훌륭한 논의라 생각하지 않는다. 청담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저자도 설명하고 있지만, 도가적 사유에 대해서는 높이 쳐주는 듯하다. 하지만 이 시기의 노장사상은 신선술 등과 합쳐지면서 도교로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인데, 그러한 변화상과 도가사상의 정치사상적인 측면은 도외시하고 신선술 등만 부각시키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또한 그런 이유로 죽림칠현의 은자적 모습과 청담에 대한 설명에 모순적인 면이 있다고 보인다.

 

  저자는 직접적인 언급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의 '청탁'을 나눈다고 생각되는데, 칠현 중에서는 혜강을 가장 높이 치고, 왕융을 낮게 본다. 그 외의 중요 인물 중에서는 종회를 가장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혜강처럼 죽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왕융·종회와의 차이가 그렇게 큰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조씨가 그렇게 빨리 망하지 않고, 사마씨가 정권을 못 잡았어도 그들의 삶의 궤적이 많이 달라지지는 않았을까?

 

  어쨌든 죽림칠현의 의도는 성공적이라고 평할 수 있겠다. 후세의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은자적 모습만 기억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