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 임진왜란부터 태평양전쟁까지 동아시아 오백년사 메디치 WEA 총서 4
김시덕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이 책은 16세기에서 20세기 중반, 임진왜란에서부터 태평양전쟁에 이르기까지 거의 오백년에 달하는 역사를 담고 있다. 책이 그다지 두껍지 않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오백년의 역사를 중요한 사건 중심으로 매우 간결하게 정리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다루고 있는 내용은 만만치 않다. 제목에서처럼 동아시아를 둘러싸고 있는 역사를 서술하고 있기에 조선, 청나라, 일본이 반복적으로 거론되고, 기타 동아시아 국가도 심심찮게 언급되고 있는데다가 그 사이 동아시아를 접촉한 유럽의 세력들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삼국지가 아니라 열국지적 상황이 펼쳐졌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일본이 전국을 통일하고 그 여세를 몰아 임진왜란을 일으킨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물론 일본의 세력 확장에 대한 환상은 그로서 물거품이 됐고, 일본 역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로 정권이 교체됐다. 뿐만 아니라 중국은 한족이 세운 명나라에서 만주족의 청나라로 교체되는 과정에서 전쟁과 민란으로 편할 날이 없었다. 그 사이에 낀 조선이 곤욕을 치렀다는 것은 모두가 다 아는 바이다. 저자는 임진왜란이 일으킨 파장이 동아시아의 주요한 흐름들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 서구 국가가 동아시아와 관계를 맺은 것은 주로 무역을 위해서이다. 일본은 쇄국정책을 고수하고 자국에서 천주교가 확산될까 우려했다. 실제로 일본은 천주교를 심하게 박해했다. 선교를 하지 않겠다고 맹세하고서 네덜란드만이 겨우 일본에서 무역을 할 수 있었을 뿐이다. 일본은 네덜란드를 통해 유럽의 정세를 살폈고, ‘난학이라는 학문을 발달시켰다. 조선은 직접적으로 외국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고, 주로 중국을 통해서 정보를 얻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일본이 보다 최신정보를 갖고 있었음은 굳이 강조할 필요도 없다.

 

한중일은 이처럼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서로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때로는 협력 했고, 굽히기도 했으며, 무력 충돌을 일으키기도 했다. 삼국은 여전히 긴장된 평화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책에서 지적하고 있듯 더 이상 자국의 틀에만 갇혀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책에서 소개하고 있듯 정세가 긴박하게 요동치는 상황에서 잘못된 판단 하나가 국가의 운명을 뒤바꿔 놓을 수도 있었다. 그것은 현재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제는 좀 더 넓은 시각과 문제의식을 갖고 동아시아의 판도를 바라봐야할 필요가 있다.

 

책이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보니, 꼼꼼한 독해를 요한다. 그리고 생소한 인명들도 상당히 많이 나온다. 아무래도 평소에 접하기 힘든 인물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덮을 때쯤이면 꽤나 복잡다단했던 역사를 비교적 잘 정리했다는 생각이 든다. 중요한 건 책을 읽고 난 후 다음과 같은 질문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일원으로서 현재 상황을 바라본다면? 동아시아의 미래를 위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