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풍경, 근대를 만나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엮음 / 채륜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풍경, 근대를 만나다

 

한국에게 근대라는 단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근대에 우리사회가 겪은 변화는 그 이전의 수백 년 동안 겪었던 변화보다도 훨씬 크고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근대는 중국이나 일본과 같이 동일한 문화권 내에 속한 국가의 영향이 아닌 다소 멀고 낯설었던 서구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은 시기이기도 하다. 근대에 겪은 변화의 대부분이 일본을 거쳐 들어온 것이거나 일본의 참견에 의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근대에 우리의 일상의 풍경과 생활의 모습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조명한 책으로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처럼 근대에 수십 년 동안의 짧은 시간에 사람들의 생활이 놀랄 만큼 변화할 수 있었던 것은 과거에도 없었던 일이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 분명하다.

 

<조선의 풍경, 근대를 만나다>라는 책은 단국대의 동양학 연구원들이 공동 저술한 것으로 모두 열편의 글이 실려 있다. 그 소제목만 봐도 상당히 흥미로운 것들이 많은데, 지금은 우리의 생활 속에 너무나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어서 그것의 기원을 의심해보지 못 했던 것들을 다루고 있다. 책은 패션, 화장품, 장난감, 혼례의 변화, 벚꽃놀이, 어린이날, 크리스마스와 같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근대는 패션의 모든 것과 여성들이 바르는 화장품 같은 것들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혼인의 풍속도를 바꿔놓았고, 예전에는 없던 새로운 놀이의 문화를 정착시키기도 했다. 이 모든 변화가 근대로부터 시작되었고,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삶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책은 흥미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을 뿐 아니라, 당시의 신문이나 잡지에 실린 글을 함께 실어 고증에도 힘썼고, 글이 단순한 흥밋거리로 흐르지도, 너무 딱딱한 글이 되지 않게 균형을 잘 이루었다. 특히나 새로운 문물을 접한 당시 사람들의 에피소드는 매우 흥미롭게 읽힌다. 처음에는 약간은 따분하지 않을까 하는 노파심이 있었지만, 생각보다 책장이 술술 잘 넘어갔다. 보통 근대의 역사에 대해서는 누구나 잘 알고 있겠지만, 정작 이렇게 생활이나 문화에서 우리가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는 이가 대부분일 것이다. 이 책을 통해 그간 우리가 몰랐던 근대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