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독서뿐 -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직 독서뿐

 

언제부터인가 책읽기가 당연한 일이 아닌 게 되어버렸습니다.

 

신문에서 출판사와 서점의 고충을 토로하고,

문화에 대한 소비는 늘어난 반면 책에 대한 소비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심지어 일 년에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는다고 합니다.

 

때에 맞춰 독서 가이드북(?)들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왔습니다.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담은 책들입니다.

 

하지만 어떤 책들은 독서를 권하고 있음에도 그 내용이 마음에 와 닿지 않습니다.

책을 읽어야 유식해 진다느니, 삶이 달라진다느니,

물론 그 말은 맞지만, 어떤 목적을 위해 독서를 해야 한다는 어투가 불편합니다.

 

그런 책들 사이에서 정민 교수의 오직 독서뿐은 참 반가운 책입니다.

 

 

독서의 대가 9인의 독서에 대한 글들을 엿보는 것은 생각보다 즐거운 일이었습니다.

독서 그 자체의 즐거움’, 그것을 위해 책을 읽어야 한다고 옛 선비는 말합니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그래, 맞아.”라며 혼자 맞장구를 치며 읽었습니다.

어떤 구절은 너무 좋아 몇 번을 반복해 읽기도 했습니다.

 

옛 선비들의 독서에 비하면 지금 우리의 독서는 얼마나 빈약한 것인가 하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한 책을 붙들고 수백 번을 반복해 읽는 끈기와,

그 의미를 깨닫기 위해 목숨을 걸고 독서를 하는 그 진지함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졌습니다.

 

하지만 그 많은 좋은 구절 가운데, 마음에 특히 더 와 닿았던 한 구절을 들어보면,

 

 

일과는 하나도 빠뜨려서는 안 된다.

사정이 있다고 거르게 되면 일이 없을 때에도 또한 게을러지게 마련이다.”

 

한 권의 책을 다 읽을 만큼 한가한 때를 기다린 뒤에야 책을 편다면

평생 가도 책을 읽을 만한 날은 없다.

비록 아주 바쁜 중에도 한 글자를 읽을 만한 틈만 있다면 문득 한 글자라도 읽는 것이 옳다.”

 

 

 

왜 책을 읽지 않느냐고 물으면, “읽고 싶은데 읽을 시간이 없어서라고 합니다.

어디 독서뿐이겠습니까? 다이어트가 됐든, 공부가 됐든,

인내와 끈기를 필요로 하는 일들을 우리는 너무 쉽게 거르고, 그러다 결국 포기하고 맙니다.

 

독서에 대한 자세 하나만 바로 서도, 우리의 삶이 달라질 것입니다.

책에서 말하고 있듯, 책을 대하듯 모든 것을 대하고,

늘 배우려는 마음으로 매사를 대한다면, 세상살이가 달라질 것입니다.

 

어떤 목적을 가진 독서를 할 게 아니라,

그냥 책이 좋아 읽고, 그 즐거움에 취하다 보면,

다른 것들은 저절로 따라올 겁니다.

 

하지만 독서가 행위와 수단으로 변질되는 것을 두려워하듯,

무의미한 독서가 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할 것입니다.

 

<첫 권만 때 묻은 책>이라는 글에서 이덕무 선생은,

첫 권은 색깔이 반드시 손때가 묻어 더러우나, 둘째 권부터는 씻은 듯이 깔끔하다.”

라고 적고 있습니다.

 

영어문법 책을 사놓고, 맨 앞부분만 보다가 그만두기를 여러 번 하다 보면

앞부분만 새카매져 있었던 부끄러운 일이 떠올랐습니다.

큰맘 먹고 산 열 권짜리 대하소설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일은 꾸준히 해 나가는 것만한 것이 없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독서는 정신을 기쁘게 함이 가장 좋고, 그 다음은 받아들여서 활용하는 것이다.

그다음은 해박해지는 것이다.”

 

이덕무 선생의 글입니다.

 

그 자체로 즐거운 독서, 그리고 독서 후의 실천, 맨 마지막이 해박해지는 것인데,

요즘의 독서는 해박해지는 것만이 유일한 목적이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씁쓸해 집니다.

 

독서를 하다 마음이 흐트러질 때면 몇 번이고 다시 꺼내어 읽을 만한 좋은 책을 만나게 되어 기뻤고, 오랜만에 독서의 시간을 참으로 행복하게 보낸 것 같아 마음이 흡족합니다.

 

.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