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삶의 자연스러운 끝, 자연의 마지막 질서이자 나의 스토리의 마지막 종결로 보는 태도다. 이것을 중립적 수용 neutral acceptance 자세라고 한다. 나 또한 유물론적 입장을 갖는 과학자로서 죽음이란 특정한 생명의 실패가 아닌 사물의 자연스러운 질서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이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벗어나면 동적 평형 상태는 깨지고 생명 활동은 완전한 정지를 향해 불가역적인 변화를 시작한다. 즉 자극에 대한 반응성이나 운동성은 감소하고 약해져서, 결국에는 대사 기능도 영원히 없어지는 것이다. 이 상태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죽음 ‘permanent cessation of vital reactions of individual’ 이다.
그리고 법의학자는 이러한 사람의 죽음을 세포사, 장기사, 개체사, 법적 사망의 단계로 분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재까지 공기로 전염된다고 알려진 감염성 질환은 홍역, 수두, 천연두, 결핵 네 종류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균 수명에 비해 한 개인이 얼마나 오래 살지를 결정하는 요인 중 부모의 수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3%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이에 비해 키가 얼마나 클지는 부모의 키로 90% 이상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 동일한 유전자를 지닌 일란성 쌍둥이마저도 수명은 굉장히 달라서 보통 15년 정도 차이가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사선학은 두 개의 과정, 즉 지각과 인식으로 나눠지는 학문입니다."
다시 말해 방사선과 전문의는 먼저 관찰하고, 그 다음에는 지각한 내용, 그 내용의 의미, 원인을 분석한다는 뜻이다. 근무 시간 내내 이 두 가지 과정을 매시간, 매분, 매초 끊임없이 되풀이한다. 수많은 1차진료의들처럼 방사선과 전문의들 역시 흐릿한 영상 속의 중요한 단서들을 놓칠 수 있다. 가령, 조직의 윤곽이나 기관의 밀도에 일어난 변화를 놓칠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