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쁜 딸입니다 라임 청소년 문학 65
파스칼린 놀로 지음, 김자연 옮김 / 라임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배송되고 나면 책표지부터 살펴본다.

나는 나쁜딸입니다 책 제목부터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는 책이였다.

나쁜딸이라니. 어떤 의미일까? 어떤 나쁜 딸이라는 걸까?l

우선 표지는 따스하다. 예쁜 여자아이가 따스한 햇빛이 쏟아지는 곳에 앉아있고 밑에는 발을 담그고 있는 욕실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마지막 생각하기도 힘든 그곳이 엄마를 보낸 그곳이 욕실이였다.

그런데 왜 이런 표지를 이렇게 표현했을까?

다 읽고 난후에 드는 생각이였다.

이 책은 받자마자 바로 끝까지 읽게 만드는 중독성 강한 책이였다.

그런데, 다시 이 글을 쓰는데 책 내용을 상기시켜보니 마음이 왜이렇게 쓰리고 아픈지 모르겠다. 아마도 비극적으로 죽음을 맞이하게 된 가정의 안과 밖에서 반복되는 폭력에 묵시되고 있는 현실에 관한 내용에 마음이 너무 아팠던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끊임없는 가정폭력에 시달리면서도 그 문제가 본인이 해결하지 못해서 생긴 일이라는 결론 아닌 결론은 마음이 아프다. 그리고 결국 온전히 보호받아야 했던 친정이라는 가정에서 조차 소외받은 라라의 엄마의 이야기는 정말이지 마음이 아프다 못해 너무 쓰라렸던것 같다.

이책을 초딩 딸아이와 같이 읽었는데, 딸아이도 너무 마음이 아팠다고 했다.

폭력의 사각지대에 우리는 모두 가만히 있었던 건 아닐까?

폭력에 놓인 그들을 보호하지도 얘기를 들어주지도 못한채 어쩌면 죽음이라는 그곳에 결국 닿을수 밖에 없던 슬픈현실에 마주하고 마는 우리의 차가운 현실이 너무나 마음이 안좋았다.

이런일이 나에게는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안전하다고 생각해야만 하는걸까?

제일 슬픈건 그들에게 무관심한 차갑기만 한 현실이라고 생각한다.

' 그들은 끝끝내 가만히 있었다'

이 문장 자체가 우리의 현실을 이야기 하는건 아닐까?

아빠의 이중적인 태도와

알면서도 묵시하는 주변인들

사회에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숙제라고 생각이 든다. 폭력은 정당화 될수 없다. 그들을 외면하지 말고 그 목소리를 들어줘야한다. 사회적 인식이 그들의 사각지대에 일침을 가할수 있으며, 무관심한 곳에서 그들을 구원해줄수 있다.

밑바닥까지 꺼져가는 나의 기분들

너무나 마음이 아팠다. 끔직한 시간이 그져 끝나기만 했던 딸과 서서히 죽어가야만 했던 엄마.

누군가가 이런일이 벌어질수 있겠지요?

마지막까지 이기적인 아빠까지 너무 속상했지만, 꼭 이책을 읽고 용기내는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들었다. 우리가 모르고 있지만 그들에게 손을 내밀어 줄수 있어야하고 직접 도움을 받거나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수 있는 관련 기관의 번호를 숙지한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여성 긴급전화는 1366 성폭력 피해자 통합 지원센터 해바라기 센터나 한국여성 인권 진흥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에 망설이지 말고 용기를 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