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3 - 애도의 방식
안보윤 외 지음 / 북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효석문학상은 메밀꽃 필 무렵이 배경이 되어 메밀꽃과 이효석을 상징하는 곳으로 통하는 강원도 평창군 봉평읍에 가람 이효석 선생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자 이효석 문학상이 제정되었다.

올해로 벌써 24회를 맞았으며 워낙 유명한 안보윤 작가의 단편 2편부터 시작해 23회 대상 수상자였던 김멜라 자선작 등 모두 8편의 단편 소설들이 이 책에 실려있었다. 이효석 문학상 수상작품집은 허구지만 현실성이 있어서 마치 있었던 일을 써놓은 듯한 착각이 들정도로 작품의 완성도가 높았던 것 같다.

올해는 안보윤 작가의 애도의 방식이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뽑혔다고 해서, 궁금하기도 하고 기대가 되었던 작품이다. 애도의 방식 첫 문장부터 눈을 뗄수 없게 집중하게 만들었던 것 같다.

소란하다. 나는 소란한 것을 좋아하고 소란해지는 것을 싫어한다 이미 소란한 곳에서는 아무도 나를 신경쓰지않는다. 라는 글귀가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소란한 곳에 소란스럽지 않는 인간으로서 안에 있으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이 드는걸까? 강한 흡입력이 있는 문장에서 호기심을 자아내게 만드는 안보윤 작가의 매력인것 같다.

요즘 이슈가 되고있는 학교폭력에 관해 소재가 강렬할수 밖에 없는 주제를 가지고있지만, 무겁지 않게 쉽게 이야기를 풀어내서 술술 읽혔던 것 같다. 또한 승규라는 인물의 죽음에 대해 피해자와 그리고 가해자의 부모까지.. 얼마나 깊게 생각하게 고민하고 글을 썼는지 고스란히 글에 녹아내렸다.

죽은자는 말이 없다. 그리고 죽은자는 아무리 나쁜짓을 해도 용서가 되는것같다. 난 동주의 내면에 대한 묘사를 읽었을때 마음이 너무 아팠다. 굴레를 벗어나고 싶지만, 아직도 굴레 안에 있는 듯한. 동주가 마음을 덜어냈으면 좋겠다. 동주가 잘못한게 아니니깐. 자기일이 아니면 무심할수 밖에 없는 타인들. 그의 부모조차 동주의 마음을 읽어주지를 못했다. 한번만이라도 괜찮은지. 얼마나 힘들었는지를 표현할수는 없었는지 말이다.

결국 동주는 아무에게도 사과받지 못했다. 그리고 용서하지도 못했다. 같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살인자로 오해받는 현실이다. 학교폭력이 죽음보다 어쩌면 살아서 받는 고통일텐데.. 몸은 살아있지만 온전히 살아있지 못한 동주이기에 애도를 건네는 그의 말이 슬프고 안타까웠다.

또한 24회 이효석 문학상 대상 수상작가 수상소감과 작품론, 인터뷰가 있어서 읽기가 편했다. 인터뷰에 안보윤 작가의 사진과 함께 실렸다. 작가가 나타내고 싶었던 것을 인터뷰 형식으로 풀어내니 작가의 생각을 깊게 알수있어서 좋았다.


역대 대상 수상작의 글도 나온다. 수상작품집에 안보윤 작가의 글외에 강보라 작가의 <뱀과 양배추가 있는 풍경>도 꽤 흥미롭게 읽었다. 주인공 재아의 눈에는 그녀를 제외한 다른 사람들은 모두 미술에 대한 감각, 취향 등이 자기보다 낮다고 생각하나 그들보다 우위에 있다는 우월감에 따른 관대함과 포용력으로 감춘다. 하지만 결국 우리는 인간이라는 점이다. 누구도 평가받을수 없고, 평가할수도 없다. 어떻게 이야기가 전개될지는 글을 읽어보고 평가하면 좋을것 같다.


#이효석문학상수상작품집2023

#안보윤

#강보라

#김병운

#김인숙

#신주희

#지혜

#김멜라

#북다

#컬처블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