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스름 나라에서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마리트 퇴른크비스트 그림, 김라합 옮김 / 창비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어스름나라에서
#마리트퇴른크비스트그림
#김라합옮김

#아스트리드린드그렌단편동화그림책

삐삐 롱 스타킹의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단편동화를 그림책으로 만나다.

다리가 아파서 걸을 수 없는 아이.
엄마의 슬픈 얼굴이 다 자기탓인것만 같은 아이.
다시는 걸을 수 없다는걸 알게 됬을때,
아이는 어떤 마음이었을까..?
혼자 침대에서 놀고 책을 읽다가
어스름 녘에 나를 찾아온 백합줄기 아저씨.
그 날의 이야기 입니다.

해 질 녘부터 동이 트기전까지 백합줄기 아저씨와
신비로운 어스름 나라의 풍경을 마음껏 즐겨요.
아이는 하늘을 날고 교회 꼭대기에 올라가 보기도
하고, 공원에 있는 나무에서 사탕도 따 먹어 봅니다.

전차를 운전해보고 어스름나라의 왕과 왕비도
만나고, 버스도 운전해 보고, 어스륾나라에서만
만날 수 있는 사람들도 만납니다.

"이게 어떻게 된 일이에요? 사름이 우리에서
도망친 걸까요?
"어스름 나라에선 모든 사슴이 자유를 누려.
허깨비 나라에서는 사슴을 가둬두지 않아."
"그리고 그런 건 중요하지 않아."

어스름나라에서 두발로 우뚝 선 모습으로
커다란 사슴을 만나고 있어요.

아이의 두 다리가 멀쩡했을 때 함께오던
동물원 식당으로 곰 두마리도 만나요.
곰들이 주스병을 온통 뒤집어써도, 실수를 해도,
어스름 나라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아요.

백합줄기 아저씨네 집은 "고요한 백합의 집."
이라고 해요. 라일락 꽃향기와~햇빛과~
일렁이는 호숫가의 물과~햇빛이 비추었어요.
어스름나라에 비친 햇빛이요.
일년 내내 어둡지 않은 곳.
아이는 이 곳에
또 오게 될까요?

책장을 넘기면 슬퍼보이는 어두운 방과 아이의
모습이 내내 마음에 결렸는데, 돌아온 후에는
방도 아이의 얼굴도 밝아졌어요.

종종 나만의 꿈을 꾸고 나만의 상상을 했던
어린시절을 떠올려 보아요. 상상만으로도 무엇
이든 가능했던 어린시절. 나를 닮은 아이는 그때
처럼 자신만의 방법으로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행복하게 웃는 모습을 발견 합니다.

잠들면 나는 이런 꿈을 꿀꺼야. 우리 꿈속에서
같이 여행가자~동화속의 주인공을 만나고 싶어.
하며 행복해하는 아이의 모습이요.

진짜 그것이 이루어지는지 아닌지는 중요해 보이지
않았어요. 조건없는 행복. 상상의 세계가 아이에게
주는 행복이란 그런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은 작고 여린, 외로운 아이으
마음에 서서 그마음을 위로해주는 동화작가라고
생각합니다. 그녀의 삐삐롱 스타킹은 어린시절의
저도 재미있게 보았고, 나의 아이들도 좋아합니다.
시대를 초월하는 작가의 이야기가 요즘
우리에게도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아이에게 주는 '조건없는 행복',
누구나 할것없이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권리.
작아도, 외로워도, 슬퍼도, 아파도,
우리는 모두 행복을 누릴 수 있단다~하며
속삭여주는것 같아요.

어스름나라에 다녀온 엄마는
이야기와 그림을 읽고
날고 싶은 첫째아이의 마음이 더 공감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좋은 책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창비 #책추천 #창비서평단 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