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미얀마에는 "찻주전자 하나 놓고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마을이 탄생한다"라는 속담까지 있다.
...하지만 내가 쁠라 라가 들어간 라오스식 쏨땀과 숩 너마이를 좋아한다고 말하면 방콕 친구들은 의미를 알 수 없는 미소를 짓는다. 그들의 표정에서 이싼이 겪은 수백 년 핍박과 처절한 가난의 역사가 읽힌다. 이싼 음식의 모양과 맛은 바뀌고 있지만 그 역사는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
..노동자들이 공장 근처 포장마차나 노점에서 먹던 빤싯이 번듯한 식당에서 팔리게 되었을 때, 이 빤싯 전문점을 ‘빤싯테리아’라고 불렀다. 이 이름도 빤싯을 대량으로 팔거나 프랜차이즈화한 중국 상인들에 의해 고안되었다는 설이 있다. 중국과 스페인의 문화가 결합한 빤싯테리아는 음식을 팔고 소비하는 장소로서 현대적 의미에 가까운 최초의 식당이 되었다. 초창기 빤싯테리아는 세계 최초의 차이나타운인 마닐라의 비논도(Binondo, 1594년 스페인 정복자들이 설립)와 톤도(Tondo) 지역에 몰려 있었다.
..미지의 땅 동남아시아로 이주한 중국인은 대부분 남성이었고, 이들은 안전한 정착을 위해 현지 여성과 결혼했다. 중국인 이주민 남성과 동남아시아 현지인 여성 간 교혼은 동남아시아 해협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졌는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이들을 ‘페라나칸(Peranakan)’ 혹은 ‘해협 중국인’으로 분류했다. 페라나칸은 말레이어로 아이를 뜻하는 ‘아나크(anak)’에서 유래한 말로 해외에서 이주한 남성과 현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과 그들의 후손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주 남성은 ‘바바(baba)’ 그리고 이들과 결혼한 여성을 ‘뇨냐(nyonya)’라고 부른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중국인이 모인 지역을 ‘뻐찌난(pesinan)’이라고 불렀는데, 이곳에 정착한 중국 이주민은 현지인과의 결혼을 통해 신분 보장뿐만 아니라 현지에서의 안정적인 생활을 원했다.
..이에 반대한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아웅산 수치다. 그는 1981년에 발간된 수필집 『공포로부터의 자유』에 "서양인들이 ‘커리’라고 부르는 미얀마식 커리는 실제 인도식 커리보다 향신료를 적게 쓰고 마늘과 생강을 더 많이 써서 맛이 인도식 커리와 다르다"라고 썼다. 실제로 인도식 마살라나 커리 가루가 들어간 미얀마 요리는 인도 본토 출신이라는 뜻의 ‘껄라’라는 말이 들어가 ‘껄라쳇힌’이라고 따로 부른다. 즉 인도식 커리와 미얀마식 ‘힌’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이다.
..한국과 중국, 일본이 유교 문화권이듯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그리고 1965년에 독립한 싱가포르와 브루나이(1984년 영국에서 독립)는 말레이 문화권으로 묶인다. 말레이 문화권은 7세기에 중동에서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온 아랍 상인들에 의해 이슬람교가 전파되면서 발전했다. 13세기부터 동남아시아에서 교역을 통해 번창한 이슬람 왕조들은 말라야에서 인도네시아를 가로질러 보르네오, 술라웨시, 말루쿠(Maluku), 현재 필리핀 남부의 술루 군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이슬람 해상 제국을 건설했다....
..‘껌(cơm)’은 쌀로 지은 밥이라는 뜻이고 ‘떰(tấm)’은 부서진 쌀이라는 뜻이다. 즉 부서진 쌀로 지은 밥이다. 한국에서 흔히 불면 휙 하고 날아갈 것 같다고 표현하는 동남아시아 쌀은 인디카종이다. ‘안남미’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조선 왕조 말기에 안남이라고 불렸던 베트남 중부 지역의 쌀을 수입하면서 생긴 명칭이라고 한다. 곡식의 알이 길고 찰기가 거의 없는 인디카종은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와 같은 열대 지역과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된다....
..전통 음식으로서 른당이 녹여낸 미낭카바우 사람들의 철학은 요리에 들어가는 네 개의 주재료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이 요리에 들어가는 육류(dagiang, 다기앙)는 그 지역 유지나 지도자를 상징한다. 이들은 자신이 속한 혹은 이끄는 공동체를 위해 소 한 마리 내어줄 수 있는 재력과 힘을 가진 전통적 씨족 공동체 지도자들이다. 두 번째로 중요한 재료인 코코넛 밀크, 혹은 코코넛은 공동체 발전을 위해 지적 능력을 내어주는 지식인, 교사, 작가 등을 상징한다. 세 번째로 ‘라도’로 불리는 칠리와 고추 같은 재료는 성직자와 전통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sharia)를 상징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러 향신료를 혼합한 양념인 쁘마삭(pemasak)은 미낭카바우 사회 전체를 대표한다.
..찹쌀과 멥쌀을 구분하는 기준은 전분의 주성분인 아밀로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ctin)의 함량이다. 찹쌀은 아밀로오스가 아예 없거나 아주 소량 있고, 아밀로펙틴 함량이 거의 100%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을수록 밥을 지으면 광택이 생기고 찰기가 높아지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부드러워진다. 멥쌀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비율이 2대 8 정도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밥을 지으면 찰기가 거의 없어지고 시간이 지나면 딱딱해진다. 한 가지 더 눈여겨볼 만한 점은 아밀로펙틴 함량이 많을수록 소화가 빠르다는 점이다. 그만큼 영양분이 빠르게 체내에 흡수된다는 뜻이다. 대부분 사람은 찹쌀이 백미보다 소화하는 데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지만, 그 반대다. 오히려 찹쌀이 소화 흡수가 빠르고, 그래서 상대적으로 당뇨 위험성도 크다.
...동남아시아에서 주식으로 삼는 쌀은 대부분 멥쌀인 인디카종인데 이는 한국인들이 주로 소비하는 자포니카종보다 모양이 길고 익히면 찰기가 덜해 밥알들이 잘 붙지 않는다. 그런데 인디카종이 자포니카종보다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다. 그래서 소화가 천천히 이루어지고 그만큼 에너지가 천천히 공급된다. 동남아시아에서 찹쌀 음식이 더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소비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디카종 쌀이 못하는 ‘빠른 에너지 공급’을 찹쌀이 대신하는 셈이다. 태국의 ‘카오니아오 마무앙’이 바로 그 증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