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p. ..이런 질투심은 성인들의 경우에도 다르지 않았다. 성인 율리아노(Julian, 7세기의 성인. 축일은 2월 12일)의 경우이다. 집을 떠나 방랑하던 율리아노는 한 성주의 딸과 결혼하고 기사로 임명되었다. 후에 그의 부모는 말없이 집을 나간 아들을 찾아 나섰다. 어느 날 우연히 그의 부모들이 이 성에 도착했는데 율리아노의 부인은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난 뒤 그들이 누구인지 당장 알아차렸다. 그녀는 시부모를 공경하는 의미에서 자신의 안방을 그들에게 내어주고 다른 방에서 잠을 청했다. 다음날 이른 아침, 사냥터에서 돌아온 율리아노는 안방에 들어갔다가 네 개의 발이 침대에 있는 것을 보고 분노한 나머지 앞뒤 가리지 않고 침대에 누워 있던 사람들을 죽여 버렸다. 부인이 다른 남자와 자고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조금 뒤 부인이 교회에서 아침 기도를 마치고 돌아왔다. 율리아노는 부인에게 상황 설명을 듣고 나서야 자기가 돌이킬 수 없는 몹쓸짓을 한 것을 알아차렸다. 질투심에 불타서 죄를 지은 것이다. - P-1
98p. ..이런 일을 치르고 난 뒤 도움을 준 부부나, 도움을 얻은 부부 사이에 신뢰나 관계가 깨졌다는 기록은 없다고 발하우스는 전한다. 아이를 갖지 못하는 이웃의 안타까운 사연이 들리면 이웃집 남자들은 기꺼이 ‘결혼을 도와주는 남자‘ 역할에 나섰다. 이때 어떠한 껄끄러움도 갖지 않았다고 한다. 이를 통해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밭에 쓸 호미가 없는 이웃에게 호미를 선선히 빌려주는 것처럼, 땅은 있으나 밭에 뿌릴 씨가 없는 사람을 도와주었다고 비유하면 될까? 발하우스는 이런 풍속이 "부족한 부분을 이웃끼리 서로 도와주는 건전한 이웃돕기의 일종이었다"고 전한다. - P-1
103~104p. ..1496년 슈바벤 지방에 있는 아델스부르크의 수도원에서 나온 자료를 보면, 보르트링겐Bortlingen 지방의 한 종이 결혼을 허락받기 위해서 영주에게 나무 땔감을 바쳤고, 여종이 결혼할 때는 현금이나 프라이팬 등을 바쳤다고 적혀 있다. 프라이팬의 크기를 정하는 잣대는 ‘그녀의 엉덩이가 다 들어갈 만한 크기‘였다고 한다. 그렇지만 너그러운 영주 몇몇은 치즈나 버터만 받고도 결혼을 허락해주었다. 물론 치즈도 여자의 엉덩이 무게만큼 바쳤다고 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종들은 일단 자신의 결혼에 대해서 어떠한 자유도 없었다는 것이다. 종도 인간이기에 이런 제도에 대해 치욕과 모욕, 조롱을 느꼈을 테지만 신분제가 있는 한 벗어날 방법이 없었다. - P-1
124p. ...또 남자가 평소에 흠모하던 여자의 방에 들어가게 되었을 때 반드시 챙겨야 할 방편도 있었다. 오리주둥이를 바짓단에 넣고 들어가거나 병아리의 혀를 상대방이 모르게 음식에 넣어 먹이는 처방이었다. - P-1
124~125p. ..남녀가 사랑을 나누기 위한 처방이 있다면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사랑이 귀찮아서 물리치기 위한 방편들이다. 너무나 싱거운 짓으로 보이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매우 간절한 염원을 담은 처방이었던 모양이다. 예를 들면 그(녀)에게 책 한권을 건네는 것인데, 책을 받은 이가 책장을 스르륵 넘길 때 사랑도 날아간다는 원리이다. 당시에는 책이 귀했으므로 이런 방편이 통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다른 방편은 귀찮은 사랑을 잘라내듯이 칼이나 가위로 무언가를 자르는 것이다. - P-1
145p. ..결혼식 장소를 온갖 꽃으로 장식하는 풍속은 르네상스 이후부터 시작된 것이다. 결혼식을 주로 5월에 치르는 것도, 사람들이 몸을 자주 씻지 않았기 때문에 꽃 향기를 통해서 냄새를 없애려는 의도가 다분히 들어 있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꽃 냄새가 지나치게 강렬한 나머지 신부가 결혼식을 하는 동안 기절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친구나 하객들이 신랑신부에게 곡물을 던져 주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자손을 많이 낳으라는 의미로, 대추를 신랑신부에게 던져주는 우리의 풍속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 P-1
160p. ...그러나 아무리 말과 말을 가지고 종교 싸움을 한다고 해도 변하지 않는 진리는, 신은 이런저런 인간의 말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신은 변함없는 본성Eigenschaft을 묵묵히 지키고 있을 뿐이다. 이런 사실을 현대인들의 사고에 접목시켜 보아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도 어쩌면 한치 앞만 내다보고 살며 그 때문에 어떤 설이나 이론에 맹목적으로 휘둘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죽자 살자 진리라고 믿고 있는 것들이 후손들이 봤을 때는 황당하고 우스운 것이 될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는 빙산의 일각만 보지만, 후대인들은 빙산의 뿌리까지 보고 판단할 것이니 말이다. - P-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