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로나 복도 같은 길은 사람만을 위한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 물길도 길이고 바람 골도 길이다. 세상만물이 지나는 길. 길은 사람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대상이 무엇이든 흐르게 해주는 것이었다. 숲속을 걸을 때도 가끔 멈추어 지나가는 바람을 온몸으로 맞이하지 않는가. 그것은 우리가 바람이 다니는 길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바람 길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 것을 옮겨주는 길도 존재하는 것이다. 이 병원에서 그 좁은 복도를 보기 전까지 내게 길이나 복도는 그저 건축의 물리적 요소 중 하나일 뿐이었다. 그러나 이제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이는 이 저택이 감추고 있는 놀라운 비밀의 서막에 불과했다.
...보통 많은 것을 숨기고 있다가 은연중에 한두 개의 사실을 털어놓으면 사람들은 그 사실을 완벽하게 믿게 된다. 궁금증이 커지면서 어느 순간 논리적 판단보다는 감정에 치우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세상에서 찾아낸 가장 아름다운 디자인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하늘’이다. 하늘은 태초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똑같은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 것이다. 한 번도 같은 모습이 아닌 다른 모습으로 사람들을 위로해 온 하늘이다. 나는 지금 나뭇잎으로 수놓은 오늘만의 하늘을 보고 있다. ..다른 하나는 ‘생각’이다. 사람의 생각은 경계가 없고 끝을 알 수 없는 바다와도 같다. 그리고 그 생각을 잘 정제해 실현하면 위대한 작품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인간의 생각은 위험한 도구이기도 하다. 선악과처럼 잘 쓰면 이롭지만 잘못 쓰면 죽음으로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반면 프랑스와는 폐허가 된 수도원의 상처를 그대로 지키는 것을 선택했고, 그 사이를 메우기 위해 복제가 아닌 다른 재료와 다른 방식을 이용했다. 바로 벽돌을 사용한 것이다. 그 덕분에 지금 이 벽의 어느 부분이 정말 중세 사람들의 손때가 묻은 진짜인지, 어느 부분이 보수된 곳인지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다. 벽돌로 채워진 부분 또한 하나의 역사적 증거로 남아 있다. 이는 진정 차곡차곡 쌓여가는 적층된 역사라고 불릴 만한 것이다.
"...멋진 액자를 가졌다고 그림의 주인이 될 수는 없습니다. 그림의 주인이 액자를 가져야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