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조선의 뒷골목 풍경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에서 배우는 국사 수업을 매우 좋아했지만, 정작 우리가 배우는 역사는 왕과 귀족 중심의 정사였기에 그 당시의 나와 비슷한 사람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 지 알 도리가 없었다. 조선의 뒷골목 풍경은 많은 역사서에서 다루지 않은 소외된 계층의 사람들에 대하여 철저하게 파헤친 흥미로운 책이다.

땡중, 별감 등 여러 인간형이 제시되었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조선시대의 과거장에 대한 묘사이다. 지금으로 치면 수능 정도 될 국가적인 시험장이 그렇게 아수라장이었다니. 허세 부리는 조선의 양반들이 뒤돌아서서는 아우성을 쳤다는 모습에 웃음 지었다. 문제를 빨리 보고, 답안지를 먼저 제출하기 위한 자리싸움이 벌어지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게다가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방법들은 어찌나 교묘하던지! 한 응시자는 시험장 안에 미리 관을 묻어두어 외부에서 답안지를 전달받을 줄 수 있는 장치까지 고안했다고 한다. 그 실력이면 잡과에 고위직 하나 얻을텐데. 많은 사람들은 자리를 맡아줄 사람, 글씨를 대신 써 줄 사람, 심지어 답안을 작성해 줄 사람까지 엄청난 돈을 지불하고 동원하여 과거에 합격하려고 애를 썼다. 이렇게 타락한 제도를 통해 뽑힌 관료들이 정치를 하니 백성들이 편안할 리 없었겠다.

사회적 약자들만 다룬 이 책에서도 여성은 단 한명만이 다루어졌다. 수많은 남자들과 관계를 가진 어우동이다. 여자는 정절이 미덕이요 외간 남자와는 함께 있지도 못하는 철저한 유교 국가에서는 엄청난 스캔들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도 이러한 풍조가 남아 있다는 생각에 언짢았다. 성관계를 몇 번 갖는지는 개인의 자유이다. 남자들은 이러한 경향이 대부분 인정되어 자신의 경험을 과시하기도 한다는데, 여자가 만약 그런 일을 한다면 아마 그 날로 ‘걸레’라 낙인찍힐 것이다. 자신이 순결하다는 증거로 처녀막을 유지하기 위해 복원 수술을 하다 심지어 목숨을 잃었다는 보도를 접하고는 ‘여자는 순결해야 한다’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바뀌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히 성관계에 있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남녀가 평등하지 못한 위치이기 때문이다.

현대에는 인터넷이라는 도구가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주목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기록도 남을 것이다. 반면 조선 시대 사람들은 우리처럼 풍요롭게 살지 못한데다 죽은 후에는 완전히 잊혀지기까지 하다니, 억울하기 이를 데 없다. 야사가 흥미롭기도 하고, 우리 조상들의 실제 삶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해 앞으로 우리나라의 야사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가져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