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줏집]


아침 뉴스를 들으니,

우리나라 기자가 무장괴한에게 납치되었군요.

하루빨리 무사히 풀려나길 기원합니다.


제가 우리말편지에서 가끔 기자를 탓하긴 하지만,

그래도 정의의 펜을 든 기자는 언제 어디서건 굳건해야 합니다.



어제는 12시 넘어서 밤늦게 퇴근하면서

같이 퇴근하는 동료와 맥줏집에 들러 가볍게 한잔하고 들어갔습니다.


열심히 일하고 나서 마시는 맥주,

그것도 맘 맞는 친구들과 마치는 맥주는 보약일 겁니다.


맥주를 파는 집을 '맥주집'이라고 할까요, '맥줏집'이라고 할까요?


우리말을 공부하면서 제가 제일 불만인 게 사이시옷 규정입니다.

언어현실과 많이 동떨어진 규정을 만들어놓고 지키라고 강요하는 것 같아 영 떨떠름합니다.


언제 기회 되면 사이시옷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고,

오늘은 간단한 것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사이시옷은 두 낱말을 합쳐 한 낱말로 만들 때만 씁니다.

이 두 낱말은 꼭,

고유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

한자어+한자어

여야 합니다.


이것만 아셔도 '피잣집'이 아니라 '피자집'이고,

'핑큿빛'이 아니라 '핑크빛'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앞에서 보는 것처럼 고유어와 한자어의 결합에만 사이시옷을 쓰지,

외래어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거든요.


이 중, 한자어+한자어는,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이렇게 여섯 가지만 사이시옷을 쓰고 다른 경우는 쓰지 않습니다.

따라서 '촛점'이 아니라 '초점'이 맞고, '갯수'가 아니라 '개수'가 맞습니다.


맥주는 麥酒로 한자어입니다.

사이시옷은 맥주 다음에 고유어가 올 때만 쓸 수 있습니다.

맥주 다음에 한자어가 오면 한자어+한자어인데,

이런 경우는 여섯 가지만 사이시옷을 쓰고 다른 경우는 쓰지 않는다고 했잖아요.


따라서,

'맥주+집'은 한자어+고유어로 '맥줏집'으로 쓰는 게 맞습니다.

그러나 맥주+병(甁)은 한자어+한자어이므로 '맥줏병'이 아니라 '맥주병'으로 써야 맞습니다.

맥주+잔(盞)도 마찬가지 이유로 '맥주잔'이 맞습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7-03-23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이시옷,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위의 네가지 경우와 예외 여섯가지 한자어+한자어, 잘 기억할랍니다. 가져갈게요^^

글샘 2007-03-23 1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이넘이 한자어인지 고유어인지... 그걸 따지기가 쉽지 않죠^^
회(膾)를 한자라고 횟집이라 하는데... 그건 그렇다 치고,
만둣국, 죗값, 장맛비, 등굣길과 하굣길, 꼭짓점... 애매 모흐~한 놈들도 많구요.
제가 수업할 때, 저 여섯 놈의 예외는 이렇게 외운답니다.

자율학습을 마치고 집에 가는 <찻간>에서 갑자기 <툇간(화장실)>이 가고 싶어진 주인공.
그렇지만 자기네 집은 <셋방>이어서 공중변소는 너무 무서웠으므로,
은밀하게 주인집 <곳간>에 가서 시원~하게 볼일을 보았다.
ㅋㅋ 고3 동안 그 볼일을 본 <횟수>가 <숫자>를 셀 수 없이 많았다~~~
요로케~~

짱꿀라 2007-03-23 2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혜경님을 통해서 이 자료를 보게되었습니다. 좋은 자료 얻어갑니다. 감사드립니다. 주말 잘 보내시구요.

마노아 2007-03-24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익한 자료입니다. 저도 담아갈게요~

뽀송이 2007-03-24 2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저도 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