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 - 우리 건축의 구조와 과학을 읽다
김도경 지음 / 현암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느끼는 거지만, 우리나라의 옛 건축물들은 웅장하거나 화려하지는 않다. 항상 단아하고 조용한느낌이어서, 한번 척 봐서 좋다, 나쁘다를 말할 수 없다. 그저 오래도록 천천히 관찰하고 느껴봐야 그것이 얼마나 기품있고, 멋있으며, 과학적으로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한마디로,  알테면 알아 봐. 나 여기 있어. 라고 말하는 게 우리나라의 건축은 아닌가 싶다.   

또 그것이 어찌보면 우리나라 사람의 정서하고도 비슷하다는 생각을 해 본다. 원래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놓고 자신의 존재감을 뽐내지는 않지 않던가? 그저 남이 알아주면 좋은 거고, 몰라줘도 원망할 줄 모르는 사람이 우리나라 사람이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사람이 소위 말하는 끝발이 없느냐면 그렇지도 않다. 은근한 카리스마가 있는 민족이 아닌가? 그런 민족의 정서는 곳곳에 베어있어 우리나라 건축물도 예외는 아닌 성 싶다.  솔직히 광화문이나 경복궁을 보라. 그것이 단숨에 사람을 사로잡을만한 위용이 있는지?  하긴, 그도 모를 일이긴 하다. 옛날엔 그 건물을 크게 봤을지 누가 아는가? 하지만 그 건축물이 지어졌을 당시로 돌아가도 사람들은 그 건물을 크다지 크게 봤을 것 같지는 않다. 정말 애써 돋보기를 대고 보듯 하지 않으면 알 수가 없다. 현대식 건물에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 그것을 알 수 있을만한 꼼꼼한 안내서가 나왔다. 총 7개의 쳅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쳅터마다 3개내지 4개의 소제목으로 분류에 도판과 함께 꼼꼼한 설명을 더했다. 읽다보면 아는 것보다는 모르는 것이 많아 생소한 느낌을 가질수도 있다. 아니, 차라리 좌절감을 맛볼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든다. 사극을 그렇게 많이 봐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극에 나온 배우에 대해 떠들줄만 알았지 도무지 그 나머지에 대해선 관심을 가질 줄 몰랐다는 자책을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너무 자책하진 말기를. 어차피 자기 전문 분야만이라도 잘 하는 것도 애국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거야 이렇게 책으로 읽고 교양을 쌓을수도 있지 않은가?  우리나라 건물이 그저 사람의 몸이 거하기 위해서만 있지 않고, 거기에 우주 삼라만상의 원리를 담아 짓고, 거기에 인간이 거할 것을 생각했다는 점에서 확실히 오늘 날의 건축 정신과는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을 알게된 것만으로 나는 이 책이 충분히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저자의 백과사전적 글에 경의는 표하지만, 너무 건조한 느낌이 들어 끝까지 읽기엔 다소 버거운 감이 들지도 모르겠다. 조금 더 쉬운 문체로 풀어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개인적으로 아쉬움이 남는 책이라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