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혁명]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고전혁명 - 리딩멘토 이지성과 인문학자 황광우의 생각경영 프로젝트
이지성.황광우 지음 / 생각정원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진짜 좋은 책은 장기간에 걸쳐서 많은 사람에게 읽히고, 꾸준히 계속해서 그 판매가 이뤄지는 책이다. 인터넷 서점 베스트셀러란에 올라있는 책 중 대부분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람들에게 잊혀진다. 하지만 진짜 좋은 책을 그 이후로도 계속 사람들이 찾아 읽게 되고, 그 책은 사람들에게 꾸준히 인식되어있다.


 그렇다면, 대표적으로 어떤 책이 그런 책일까?


 그것은 바로 '고전'이다. 고전이라고 하여 무조건 케케묵은 옛날 책이 아니다. 이전에 나는 '논어가 교육의 지표로서 합당한 이유'라는 글을 통해서 한 번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다. 이 같은 고전이 정말 좋은 책인 이유는, 그 많은 세월이 지났음에도, 계속해서 사람들에게 읽히고 있으며, 많은 사람이 그러한 고전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가치관을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고전을 어렵게 생각한다. 왜냐하면, '고전'이라는 말 자체가 들으면 왠지 어렵고, 재미는 하나도 없을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이 같은 고정관념이 자리를 잡은 이유는, 우리가 학교에서 어릴 때 받았던 독서교육에서 재미없는 책들을 억지로 읽게 하고, 억지로 장문의 글을 쓰도록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고전에 대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고전은 '재미없기만 하고 읽을 필요(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나는 그런 어려움을 느끼고,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한 권의 책을 권하고 싶다. 그 책은 '리딩멘토 이지성과 인문학자 황광우의 생각경영 프로젝트 고전혁명'이라는 책이다. 줄여서 그냥 '고전혁명'으로 부를 수 있다.


 위 책을 읽음으로써, 왜 우리가 고전을 읽어야 하는지, 고전을 읽음으로써 얼마나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가 있으며, 왜 아이에게 고전을 읽게 하는 교육이 필요한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단순히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 지나칠 수도 있으나, 정말로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 하였다. 위 책에서 실제로 교육현장에 고전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이뤄낸 한 사례가 적혀있었다. 그 사례를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1979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허버트 브라운, 199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게리 베커, 미국의 유명수학자 조지 버코프, 인권운동가 제시 잭슨.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답은 모두 시카고대학 출신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시카고대학에서는 85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44명의 로즈장학생(로즈장학제도는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장학제도로, 엘리트 코스로도 정평이 나 있다)을 배출했다. 오늘날 명문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지만 사실 초창기 시카고대는 그저 그런 학교 중 하나였다. 그런데 1929년 30세의 허친스가 제5대 총장으로 부임하면서 변화가 시작됐다. 열등감과 패배감에 물들어 있는 학생들을 보고 허친스는 새로운 계획을 도입한다. 일명 시카고 플랜이라고 불리는 '그레이트북 프로그램(The great book program)'이 그것이다. 허친스는 학생들에게 졸업할 때까지 백 권의 고전을 읽게 했다. 단지 읽기만 시킨 것이 아니었다. 그는 고전을 읽으면서 세 가지 목표를 충족하도록 주문했다. 첫 번째는 고전에서 자신만의 롤모델을 발견하라는 것, 두 번째는 자신의 인생을 이끌어갈 가치를 찾으라는 것, 마지막 세 번째는 자신이 발견한 가치에 꿈을 품으라는 것이었다.


 결과는 놀라웠다. 하버드대나 예일대에 비해 수준이 떨어진다고 스스로를 평가절하하던 학생들이 고전을 통해 가치와 꿈을 가지게 됐고 열정을 회복했다. 85명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이라는 경이로운 기록은 학생들의 꿈과 열정이 빚어낸 쾌거였던 셈이다. 미국에서 가장 지적인 대학으로 꼽히는 리드·뉴·말보로·세인트존스대학에서는 하버드대나 스탠퍼드대보다 더 많은 학자와 저명인사를 배출했다. 이 네 대학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인문고전이다. 특히 세인트존스대학은 전공과목이나 교양강좌가 아예 없으며, 백 권의 고전 토론이 대학 사 년 커리큘럼의 전부다.


 위 사례가 놀랍지 않은가? 고전이 읽은 학생들이 겪게 된 변화는 참으로 놀라웠다. 실제 통계학적으로도 그냥 소설을 읽는 학생들보다 인문학과 고전을 위주로 읽는 학생들이 보다 후에 성공적인 인생을 살고 있다는 결과가 있었다. 즉, 아이들에게 고전을 통한 교육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가 있는지는 이미 검증이 끝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전을 읽음으로써 우리가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를 이 책 '고전혁명'에 언급된 하나의 글을 남긴다. 아래의 글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왜 아이들에게 고전을 통한 교육이 필요한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사회를 보는 눈, 정말 누구의 잘못인지 밝힐 수 있는 판단, 그것을 키우기 위해 우리는 고전을 읽어야 한다. 나만의 프레임으로 고전을 해석해 삶에 적용해야 한다. 고전은 위가 아니라 우리의 것이 돼야 한다. 고전은 자신의 권리를 찾는 시작이다. 경제위기가 터질 때마다 가계가 휘청하고, 사회가 흔들리면 나의 안위도 불안해지는 삶이란 얼마나 고단한가. 시대의 판도를 알지 못하면 미리 대비할 수 없고, 내 두 발로 우뚝 서지 않으면 작은 외풍에도 크게 흔들린다. 내 머리에 모자를 쓸 수 있는 사람은 나뿐이라는 비트겐슈타인의 말처럼, 내 삶은 누구도 대신 살아줄 수 없다. 타인의 시선이 아닌 내 두 눈으로 세상을 보고, 타인의 프레임이 나는 내 머리로 판단하고, 누구에게 기대지 않아도 내 두 발로 우뚝 설 수 있는 삶을 위해, 우리는 고전을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