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그림값
김재준 지음 / 자음과모음 / 1997년 9월
평점 :
절판


그림을 사고 싶었다. 포스터가 아닌 화가의 손길이 담긴 작품을... 판화 한장이라도 상관없을 것 같았다. 하지만, 문외한이라는 이유로 바가지를 쓰긴 싫었다.

아마 이 책을 찾아 찾아 여기까지 온 독자들은 대부분 나와 비슷한 상황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 책은 97년도에 발간된 책. (게다가 절판까지! 하지만, 이 책은 서점에서 의외로 어렵지않게 구할 수 있다.) 지금은 2003년인데, 과연 '그림값'에 관한 정보가 여전히 유효할까?

구입하자마자 단숨에 읽은 후에 내린 결론은, 뒤늦게나마 이 책을 구해 읽기를 정말 잘했다는 것이다. 물론, 책 속에 적혀있는 작가별 작품 가격에 대한 정보는 지금와서는 많이 바뀌었을지도 모르겠다. (최근 몇년간 심한 불경기였다는 걸 감안하면 그다지 변화가 없을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이 책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건 '어느 화가는 호당 얼마더라'라는 정보 그 이상이다.

책값 몇천원에 이런 귀한 정보를 마구 내돌려도 되나 싶을 정도로 저자는 많은 걸 알려준다. 우리나라 미술 시장에서 그림을 어떻게 어떤 방법으로 사야되는 가에 대한 노하우는 물론, 본인이 미술품을 구입하면서 개인적으로 겪었던 온갖 시행착오를 정말 아낌없이 공개하고 있다. 덕분에 저자가 엄청나게 치뤘을 이른바 '수업료'를, 책을 읽는 우리들은 상당히 절약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정보의 시대라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짜배기 정보는 혼자서 꽁꽁 숨겨놓고,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인 정보들만 바깥 세상에 공개한다. 인터넷이 때때로 쓰레기 하치장 처럼 느껴지는 것도 그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진정한 '정보 공유', '정보 공개'가 뭔가를 보여준다. 아마도 미술품 수집에 대한 저자의 남다른 애정때문이 아닌가 싶다. 저자가 최근 상황에 맞게 업데이트된 책 한권만 더 내주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보면서도, 그걸 바라는 내가 염치없다고 느껴질 정도다...^^

참, 그림은 아직 한점도 못 샀다. 물론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저자의 충고대로 좀더 '눈'을 키우고 구입할 예정이다. 처음으로 내가 고른 화가의 작품을 구매하는 날, (음, 상상만 해도) 얼.마.나. 기.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