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엄청나게 가깝지만 놀라울 만큼 낯선 - 의외로 낯선 중국 문화와 사유의 인문학 가깝지만 낯선 문화 속 인문학 시리즈 1
스위즈 지음, 박지민 옮김 / 애플북스 / 201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 엄청나게 가깝지만 놀라울 만큼 낯선

          ​: 의외로 낯선 중국 문화와 사유의 인문학

     _스위즈(石毓智) / 박지민 역 | 애플북스

 

 

중국인이 관찰한 중국인

 

 

중국인은 음식으로 세상을 본다

 

음식문화는 각 나라 민족마다 각기 다르다. 중국인들은 어떤 특성을 갖고 있을까? 중국인들은 단순히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먹는 행위 자체를 통해 세상을 바라본다고 한다. 중국인들이 먹는 행위로 세상을 보는 이유는 어디에서 기인할까? 중국인은 날짐승이나 들짐승을 봤을 때 가장 먼저 잡아먹어야겠다는 생각부터 한다. 중국인의 이러한 생각은 오랫동안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다. “중국 문화에서 먹고 마시는 행위에는 깊고 돈독한 정이 숨어 있다.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이다. 그 안에 깃든 오묘함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중국인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이는 음식을 가운데에 둔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끼친다. “조금 친하면 입만 살짝 적시고, 많이 친하면 크게 한 모금 마시고, 형제라 여길 정도면 위장에서 피가 날 만큼 마신다.”

 

중국인은 먹는 것으로 그 사람의 품성을 관찰한다고 하는데, 이는 단지 중국인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먹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게으르다는 평가는 만국 공통의 생각이리라. “아직도 많은 중국인들은 밥을 함께 먹지 않으면 일이 성사되지 않는다고 믿는다. 그래서 어떤 일을 하기 전에 가장 먼저 식사초대를 한다. 다른 사람의 밥을 먹는다는 것은 그에게 정을 하나 빚진 것과 같으므로, 초대해준 사람의 일이 성사되도록 돕는 것으로 화답한다.”

식사자리에 초대를 받지 못한다는 것, 식사대접을 위해 초대를 하지 않는 것은 그만큼 서로 가까이 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된다. “중국의 음식문화는 대단히 발달했다. 음식 종류의 풍부함이나 긴 역사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안에는 다른 나라 사람들은 잘 이해하지 못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이 점을 알아야 중국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인들의 가치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관본위(官本位)사회

 

2013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졸업식에서 미국 부통령 조 바이든은 중국인은 창조력이 부족하고, 남과 다른 생각을 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는 권위에 도전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말에 중국인들의 자존심이 상할 수도 있다. 이 책의 저자 스위즈는 중국을 비롯해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많은 중국인들은 보편적으로 지위가 옳고 그름을 결정한다는 가치관을 갖고 있다고 평가한다. “높은 관리 앞에서 중국인은 생각이 멈춰버린다. 보통 사람이 관리를 만나거나 하급 관리가 고위 관리 앞에 서면 독립적 판단력이 자동으로 사라지고, 무조건 고개를 끄덕이며 따른다. 이처럼 아첨하며 떠받드는 것이 관본위(官本位)사회의 특징이다.” ‘권위가 옳고 그름을 결정한다는 사고(思考)는 유교문화의 특징이다. 유학자들은 ‘~다움에 목숨을 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왕은 왕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비는 아비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는 사고방식이 밑바탕이다.

 

중국인들의 짝퉁 문화

 

중국 사회에서 가짜 상품의 문제는 해외 토픽으로 보도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쌀이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저자는 중국사회에서 가짜가 판치는 이유를 대략 다섯 가지로 든다. 첫째, 흑묘백묘 이론의 남용과 유행이다. 과정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결과만 보는 관념 때문이라는 것이다. 돈을 벌어 부자가 되고 싶은 마음에 가짜 상품들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때 돈을 버는 과정이나 수단은 신경 쓰지 않는다고 한다. 둘째, 개인의 이익만을 생각하고 공공의 이익은 신경 쓰지 않는 사고방식이다. 전통적으로 자기 집 앞의 눈만 쓸면 되지, 남의 집 지붕의 눈까지 신경 쓸 필요는 없다라는 생각이 팽배한데, 이 생각은 적어도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은 범위 안에서 자기 일이나 잘하자는 의미다. 셋째, 횡재를 바라는 심리를 들 수 있다. 가짜를 만드는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 생활고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 빨리 많은 돈을 벌어 부자가 되고 싶어서다. 중국의 전통적 가치관에서도 이렇게 졸부가 되는 것을 장려하기도 한다. 넷째, 다다익선의 수량관이다. 가짜를 만드는 이유는 최소 비용으로 많은 상품을 생산하여 최대 이윤을 얻기 위해서다. 따라서 비용의 하한선은 없고, 많은 상품을 제작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갈수록 낮아지면서 점점 더 악질의 가짜가 만들어진다. 다섯째, 도박심리를 들 수 있다. 도박을 하거나 가짜를 만드는 일은 중국에선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최근 뉴스를 보면 도박 중독에 걸린 중국의 어느 여인이 어린 두 딸을 팔았다. 집을 오랫동안 비웠던 남편이 돌아와서 그 사실을 알고 공안에 고발했다. 여인은 두 딸을 잃어버렸다, 유괴를 당했다 변명하다가 결국 두 딸을 도박자금 때문에 판 것으로 탄로가 났다. 저자는 도박심리와 가짜를 만드는 것은 내면적으로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고 한다. 도박을 하는 사람이건 가짜를 만드는 사람이건 모두 한 푼도 들이지 않거나 적은 비용을 들여 가장 큰 이익을 얻고자 하는 마음이 바닥에 깔려 있다는 이야기다.

 

 

중국인의 절제와 질서의식

 

한국인이라고 해서 국제 사회에서 좋은 평가만 받는 것은 아니다. 최근 칠레에 나가있던 외교관의 추태는 칠레에 살고 있는 교민들의 얼굴을 하루아침에 바닥을 향하게 만들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긴 중국인들이 해외여행을 많이 하게 되면서 안 좋은 이야기 거리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현재 중국의 대도시들은 교통 정체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한다. 원래 차가 많기도 하지만(최근 몇 년 사이에 부쩍 늘어났다고 들었다)대부분은 끼어들기때문에 정체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양보해야지 하는 생각은 없고 오로지 자기 갈 길만 보고 운전하다보니, 차들이 얽히고 심지어 역행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결국에는 아무도 움직이지 못하고 도로 중간에 서 있게 된다. 사실 도로만 놓고 보면 다른 나라에 비해 폭이 아주 넓어 막힐 일이 없을 것 같은데, 어찌 그렇게 교통 정체가 심할까?

 

중국인은 전체를 보고, 체계적으로 보는 것이 부족하다. 이제는 모두가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나 하나쯤이야하는 생각이 가져오는 위험성을 깨달아야 한다.”

 

 

이 책의 원제는 중국인의 논리이다. 저자는 중국의 석학이자 인문학자인 스위즈 박사이다. 2015년 출간 당시 중국내에서 숨기고 싶은 부끄러운 민낯까지 낱낱이 공개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한편 중국인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세계 속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깨닫게 해준다는 젊은 지식층의 응원을 받으며 중국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온 화제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