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역사
니콜 크라우스 지음, 한은경 옮김 / 민음사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사랑했다. 이룰 수 없으리라 생각하지 못했던 사랑이었다. 하지만 그 사랑은 이룰 수 없는 사랑이 되어버렸다.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신뢰했다. 믿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지만 그의 믿음은 배신당했다. 하지만 그 배신은 한 사람이 또 다시 한 사람을 사랑하게 만드는 역사를 만들고 그 역사는 다시 돌고 돌아 그를 찾게 만든다. 그러므로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사랑한 것만으로도 사랑의 역사는 충분히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행히도 이 작품을 읽기 전에 이 작품 속에 언급되는 부르노 슐츠의 <악어 거리>를 읽었다. 우리나라에 <계피색 가게들>이라는 단편집속에 수록되어 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읽어보시길. 하지만 이 작품 속에서처럼 헤매게 되리라고 장담할 수 있다. 또 그만큼 매력적이라는 것도.
<사랑의 역사>라는 책 때문에 일어나는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이 작품은 읽으면 읽을수록 어디서부터 시작되는 지,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책 속의 내용이며 또 어떤 것이 환상이고 어떤 것이 실제적인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단순한 이야기지만 복잡하게 만드는 마지막 구절로 인해서 지금까지 읽었던 것을 다시 생각하고 되돌아가서 읽고 확인하게 만든다. 모든 시작은 사랑에서 시작하며 그 사랑은 역사가 깊기 때문에 아직도 완성되지 않은 현재진행형이다. 세상 모든 여자들이 알마가 될 수 있고 세상 모든 남자들이 그 알마를 사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알마라면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이 평생을 외롭지 않도록 꼭 안아주시길. 만약 당신이 알마라는 여자를 사랑하고 있다면 평생 놓치지 않을 수 있도록 노력하기를. 사랑은 늘 후회와 그리움이라는 그림자를 달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사랑이 떠나걸랑 배웅하는 법도 잊지 말기를...
독특한 작품이다. 책 속에서 책을 찾는 미스터리한 작품들을 봤었지만 그런 작품들과는 조금 다른 미스터리와 환타지, 신화를 모두 담고 있는 작품이다. 사랑이라는 하나의 소재를 가지고 여러 명의 화자를 등장시켜 책을 만들고 그 책 속의 책을 만들고 또 책을 만들어 하나의 역사를 만들어냈다.
레오의 이야기만을 읽어도 좋고, 알마의 이야기만을 읽어도 좋다. 그리고 <사랑의 역사>라는 책의 단편적 이야기만을 모아서 읽는 것도 좋다. 하나하나가 매력적인데 그 모두가 어떻게 매력적이지 않을까. 그리고 그 마지막은 도돌이표를 찍은 것처럼 감동을 안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이 가을 이 작품을 읽지 않고 그냥 보낸다면 후회하게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