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면기사, 피로 얼룩진
가쿠타 미쓰요 지음, 민경욱 옮김 / 상상공방(동양문고)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예전에는 사회면 기사를 잘 읽지 않았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런데 사회면 귀퉁이에 자리잡은 작은 박스 기사는 읽었다. 사건, 사고, 황당한 이야기를 짧게 소개하던 그 글들만은 찾아 읽었던 것은 무슨 마음이었는지 모르겠다. 읽으면서 이런 나쁜이라거나 이런 어처구나없는 일이 있다니라거나 그렇게 중얼거렸던 기억이 내 머리 한 귀퉁이에 남아 있다. 이 작품을 보면서 작가는 그런 기사를 어떤 마음으로 읽었을까 궁금했다. 

평범한 사람들이 언제부터 평범에서 벗어나게 되는 지 작가는 쓰고 있다. 그 안에 보통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고독과 외로움, 상실감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사랑의 보금자리>에서는 가정과 사랑을 지키기 위한 언니의 변해가는 모습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한 여인을 등장시키고 있다. 이 이야기는 26년전 집이 헐리게 되자 자신의 집에 시체를 숨겼던 기사를 소재로 쓴 작품인데 기사의 단순함보다 그 이면에 그렇게 숨겨서라도 지키고자했던 것이 무엇이었냐고 묻고 있다. <밤 불꽃놀이>는 아내가 있는 남자를 사랑한 여자가 살인을 의뢰하고 그것이 성사되지 않자 경찰서에 살인을 의뢰한 인물을 고소한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인데 불꽃놀이가 끝나면 그만인것을 이 처절한 미련 앞에 난감하기만 하다. 손가락질하는 것은 쉽지만 당사자가 아니면 모를 일이니까. <저 너머의 성>은 어른이 되지 못한 채 몸만 어른이 되어 버린 여자의 이야기다. 글쎄, 미성년자를 감금하고 성폭행한 여자에 대해 이런 생각이 들까 싶은데 모르겠다. 가장 난감하고 이해 안되는 작품이었다. <영원의 화원>은 어린 시절 한번쯤 누구에게나 있었을 법한 이야기다. 그 이야기를 사실적이면서 잘 그 나이 또래 아이들의 마음을 파악해서 담아내고 있다. 한 학교에서 선생님의 급식에 약을 탄 아이들의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빨간 필통>은 한 집안에 침입한 누군가에 의해 작은 딸이 살해되고 그것을 큰 딸이 발견한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언니의 시각에서가 아니라 동생의 시각에서 작품을 썼다면 좀 더 다른 작품이 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서로 상반된 시각과 소통 부재가 현대 가정의 모습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느껴지는 작품이다. <빛의 강>은 고령화 사회로 이미 접어든 일본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치매 노인의 간병 문제를 다루고 있다.  

가정이 등장하고 그 안에 가족이 있다. 친구가 등장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들은 모두 약간씩 어긋나 있다. 자매나 남매는 서로를 비교하며 우위를 점하고 안심하려 하던가 서로를 한심하게 바라보고 말을 하지 않던가 시기하고 질투를 하던가 아예 왕래조차 거부하기도 한다. 부모가 등장해도 주변인에 머물거나 아니면 부모의 가치를 상실한 부모이거나 자식을 단지 자기 마음에 들 때만 예뻐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싫어하며 아이들 탓을 하기도 한다. 내가 원한 아이는 이런 아이들이 아니었다고. 가족, 형제, 친구가 아예 등장하지 않기도 한다. 쓸쓸하고 고독하고 외롭다. 사람들이 혼자 우왕자왕하는 것이 눈에 보인다. 기댈 언덕이 없는 이들의 일상은 너무도 푸석푸석해서 금방이라도 바스라질것처럼 보인다. 이것이 현대인의 일상이라고 작가는 그들을 불쌍하게 끌어 안고 있다. 누구라도 이런 상황이라면 이렇게 되지 않겠냐고 그들을 대신해서 항변하는 것 같다.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작가의 시각을 조금만 달리하면 멍청한 사람들만 보인다. 이기적이고 지독한 비틀린 사람들이. 마지막 작품 <빛의 강>을 제외하면 연민조차 아까운. '언제부터, 무엇이, 어떻게 잘못된 것일까요?'라고 묻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날부터, 당신의 삶이, 통재불능으로 잘못된 것이라고 말해주고 싶다. 정신 똑바로 차리고 살아도, 허리가 휘게 열심히 살아도 그날이 그날이고 하루 하루가 불안한 사람들이 너무 많은 세상에 정신을 놔버린 채 꿈만 꾸는 건 로또가 당첨되기를 바라는 것보다 더 지독하게 뻔뻔한 일이다. 세상이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될 거라 생각하며 안되면 다른 이를 탓하기만 하는 사람들의 이기심으로 가득 차 있는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는 현대인의 그런 고독과 소통불능과 함께 뻔뻔한 이중성을 함께 안고 있는 것이다. 작가의 작품은 일그러진 현대인의 자화상을 이중거울로 보게 만들고 있다. 연민에 빠지는 거울을 볼 것인가, 아니면 있는 그대로의 거울을 볼 것인가 선택은 독자의 몫이다. 삼면 기사가 피로 얼룩지게 되는 것은 그 안의 기사가 아닌 그 이면을 수용하고 방관하는 현대인의 자세때문이 아닐까 싶다. 점점 더 넓게 번지고 있으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10-27 0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님~ <엄마는 독서중> 6행시 이벤트 으뜸상 수상하셨어요.
보고 싶은 책과 주소 알려주세요~~~~ ^^

물만두 2008-10-27 13:42   좋아요 0 | URL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