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 놀이
크리스토프 하인 지음, 박종대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처음 주인공의 이야기를 읽어나가면서 내 머리에 떠오른 것은 '뭐, 이런 인간이 다 있어?'였다. 한마디로 역겨운 주인공의 말도 안되는 궤변을 듣고 있는 심정이었다. 그런데 그 얘기 중간 중간에 하는 말들, 예를 들면 야바위꾼과 국가가 공익사업으로 벌인 로또에 대해서 하는 말에 나는 고개를 끄덕이고 있었다. 그러다가 우리 엄마께서 자주 쓰시던 말씀이 생각났다. "주둥이만 살아가지고는..." 딱 이 주인공에게 어울리는 말이다. 아니 글이라고 해야 하나? 아니면 그렇게 좋아한다는 당구의 당구공이라고 해줄까? 암튼 진짜 얄미운 밉상, 재수 없는 주인공이 등장한 것만은 분명하다.

이 책은 범인이 변호사에게 구치소에서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편지 형식의 글이다. 그 속에 작가는 범인의 어린 시절, 변호사가 되기까지, 다시 정치인이 되고, 범죄를 저지르기까지를 상세하게 쓰고 있다. 범인은 나폴레옹과 자신이 저지른 일을 자주 비교한다. 나폴레옹이 전쟁을 일으켜 이웃나라를 정복한 것은 그에게 놀이였고 그가 질 줄 뻔히 알면서도 러시아로 진격한 것 또한 놀이꾼으로써의 어쩔 수 없는 일이었듯이 자신이 저지른 살해는 놀이꾼이 살아남기 위한 정당방위라고 피력하고 있다.

범인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니 로렌스 샌더스의 <제1의 대죄>와 가타무라 가오루의 <마크스의 산>이 생각났다. 내 머리로 이해하기 힘든 범죄 동기, 아니 범인의 머릿속에 범죄를 저지를 때마다 이 책에서 범인이 놀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그들도 놀았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너무 사는 게 지루해서 자살하고 싶은데 자살을 하는 것보다 살인을 선택한 것은 아닐까 하고. 범인의 말대로라면 평범한 노예일 뿐인 나로써는 이런 생각이 머리를 스쳐지나가 등골이 오싹해졌다.

이것은 풍자이자 블랙 유머이다. 인간인 우리는 왜 사냐고 묻는 것이다. 시간을 살해하고 재능을 살해하고 다른 것에 노예처럼 목매여 진짜 자신의 인생에서 진정한 놀이가 무엇인지 알지도 못한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니냐고 쓴소리를 하는 것이다. 좋은 약은 입에 쓰듯이 독하게 쓰다. 마지막 반전에서 경악할 수도 없을 정도로 지독하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모두 이해한 건 아니지만.

독일 범죄 소설은 이런 블랙 유머와 자신의 뇌에 충격을 받는 느낌을 주거나 토하고 싶을 정도로 독자를 몰아붙이는 경향이 있다. 그런 점이 프랑스 범죄 소설이나 영미권 소설, 일본 소설과 다른 독일만이 가지고 있는 딱딱하면서도 투박한 느낌을 주면서 서서히 진가를 알아가게 만든다. 뒤렌마트나 쥐스킨트, 귄터 쿠네르트를 생각나게 해줘서 좋았다. 간만에 썩 괜찮은 독일 냄새가 나는 범죄소설을 읽었다. 그리 유쾌한 작품은 아니었지만.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고 저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래도 나는 여전히 뭐라고 말을 하고 싶어진다. 그런데 그 말을 하자니 범인이 "나폴레옹은 그렇게 많은 사람을 죽여도 뭐라고 안그러면서 왜 나만 뭐라 그러는 건데?" 이러면 할 말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지금도 전쟁은 벌어지고 있고 거기에서 많은 사람들은 죽고 있고 무기를 사고 팔고 개발하는 중이다. 그런 것을 지지하는 자를 선거로 뽑기도 한다. 한 사람을 죽이면 살인자지만 전쟁에서 몇 만명을 죽인 자는 영웅이라는 말도 있듯이 이런 모순을 안고 여기에 법률로 정면승부를 거는 자에게 논리로 이길 수 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도, 그래도 그 놀이, 그 완전한 놀이라는 건 받아들이기 어렵다.

내가 지금 작가에게 반항을 하고 싶은 모양이다. 쳇~ 그나저나 우리는 흔히 일상을 살면서 지옥이니 전쟁이니 노예니 하는 말들을 스스럼없이 쓴다. 그런데도 막상 정곡을 찌르는 말을 들으니 은근히 화가 나는 것에 비애감을 느낀다. 그나저나 편지 두 통으로 사람을 당황하게 만드니 만만한 상대는 아니다. 이런 편지를 받은 변호사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을 전하고 싶었다. 그 이어지는 이야기가 궁금하다. 속편이 나와서 변호사와 정면대결을 벌이는 것을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