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는 내내 그리고 책을 덮은 지금도 내 머릿속을 맴도는 말이 하나있다. 그것은 “악인입니까?”라는 질문이다. 책 제목이 악인이니 악인을 다룬 작품임에는 분명하지만 살인자만을 악인이라고 하기에는 이 작품이 담고 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냄새가 서로 섞여서 어떤 냄새를 뿜어내는 이를 악인이라고 해야 할지 너무 모호하기 때문이다.

악인의 기준이라는 것이 있을 것이다. 그 악인의 기준은 무엇일까? 살인자는 두말할 것 없이 악인이다. 어떤 변명거리가 있다고 해도, 어떤 상황에 쳐했었다고 해도 그것이 정당방위가 아닌 한 살인이라는 행위로 한 인간의 미래를 빼앗은 것만으로도 악인이기에 충분하다. 한 사람의 죽음은 남은 그를 사랑한 사람에게 고통을 안겨주고 살인자 스스로도 자신의 미래를 내던지고 자신을 사랑한 사람에게 고통을 준 결과를 가져온 것이기 때문이다.

거짓말은 어떤가? 허영심에 의한 거짓말과 남을 무시하는 태도와 조롱하는 말은 악인의 자질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그것으로 누군가 고통 받는다면 말이다. 하지만 고통 받는 이 또한 악인일 수 있다. 자신의 소심함과 소극적 행동, 알면서도 끌려가는 행동과 뒤에서 아닌데 하면서도 인정하는 것 같은 말은 악의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책 속에서 이런 말이 나온다. ‘모두가 피해자이고 싶어 한다’고. 가해자도 그렇고 피해자도 그렇고 나중에 보면 모두 피해자이고 싶어 한다. 그래야 피해자는 바보취급을 당하지 않고 가해자는 죄가 조금 가벼워지기 때문이다. 남겨진 가족 또한 그런 것을 원한다. 이런 것이 쌓여서 악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작품은 어떤 것보다 현대인들의 고독과 치유 받지 못하는 고립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젊은이들은 만남 사이트 같은 곳에서 낯선 사람을 맹목적으로 만난다. 자신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좀 더 낫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현실에서 소통이 불가능한 이들이 가상의 세계에서는 소통이 가능하다는 비현실이 이미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가정이라는 곳은 안락함을 잃어버렸고, 어른은 아이들을 더 이상 나무라거나 꾸짖을 수 없게 되었다. 제 자식도 나무랄 수 없는 현실은 잘못을 저질러도 사회에서 그들을 타이를 어른의 부재를 뜻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당장의 눈앞의 잔소리가 싫어서 회피하는 차원의 일이 아니다. 뒤에 자신이 나이가 들었을 때 아이들에게 아무 말도 할 수 없게 된다는 뜻이고 사회가 세대 간 소통 부재로 단절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세대 간의 소통 부재는 두 세대의 소멸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그러니 이것도 악인을 키워내는 잠재적 공간이 되는 것이고 나를 비롯한 모든 이들이 거기에 일조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사람을 사랑할 줄 모른다고 작품 속 피해자 아버지는 말한다. 그렇게 키운 것은 누굴까? 아이들은 사랑을 받으면 돌려주는 존재 아닐까? 갓난아기는 엄마가 웃어야만 웃음을 배운다. 웃음을 배우지 못한 아이는 웃을 수 없다. 그러니 피해자 아버지도 누굴 원망해야 할지 갈피를 잡을 수 없었던 것이다.

작가 요시다 슈이치는 우리 주변에 있는 평범한 사람들에게 있을 법한 이야기를 꾸밈없이 마치 실제 일어난 일인 냥 보여주면서 독자에게 자신과 주변을 돌아보게 한다. 지금 내 주변의 누군가에게 말 한마디, 행동 하나로 인해 악인을 만들고 있거나 혹은 누군가로 인해 화가 나서 악의가 생기지는 않았는가를 생각하게 만든다. 그런 점이 미야베 미유키의 지나치게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긴 <모방범>보다 간단하면서 짜임새 있음을 보여주고 디테일하게 가해자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담아낸 히가시노 게이고의 <편지>보다는 이성적으로 다가왔다.

내게도 ‘선’과 ‘악’은 공존한다. 그 중 어떤 것이 수면 위로 떠올라 밖으로 표출되느냐의 차이가 ‘선인’과 ‘악인’을 나누게 된다. 절대 악이 존재하지 않는 보통 사람들 사이에서는 그런 이유로 누구든 잘못된 길에서 잘못된 사람을 만나 악의가 표출되면 악인이 될 수 있다. 말하자면 악연에 의해 악인이 만들어지는 것이고 악인이란 우리의 또 다른 모습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맨 처음 내 머리 속에 있던 물음에서 좀 더 진화한 질문을 던지고 싶다. “누가 악인입니까?” 그리고 이런 대답을 할 수 밖에 없다. “모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