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실 기담문학 고딕총서 7
이즈미 교카 지음, 심정명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이즈미 교카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 작가에게는 별 관심이 없기 때문에 신경도 안 썼다. 이즈미 교카상이 있다는 것도 그런가보다 했다. 그런데 결정적으로 기리노 나쓰오가 이 상을 수상했다는 것을 안 순간 이 작가의 작품을 읽기로 했다. 기리노 나쓰오가 탄 상의 작가는 어떤 작품을 썼을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거기에 괴담이라니 금상첨화였다.

<고야성>이 처음부터 눈길을 사로잡는다. 한 스님이 길을 가다가 거머리 떼가 있는 숲을 지나 어느 산골의 외딴집에서 겪게 되는 일을 여관에서 만난 한 청년에게 이야기해주는 형식의 이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괴담에 잘 어울린다. 일본 전설을 보는 느낌을 주고 그러면서 어딘지 모르게 그로테스크하면서도 마음에 측은지심을 남기는 것이 여기 실린 네 작품 가운데 가장 좋았다. 거머리 떼를 만나기까지의 숲속을 묘사한 장면과 거머리 떼를 만난 장면을 묘사한 장면은 특히 너무도 괴담에 어울렸고 외딴집의 안주인과의 만남과 그 뒤의 이야기는 정말 이 작가의 작품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런데 <외과실>에서 갑자기 무슨 얘기를 하는 건지 감을 잡을 수 없게 만들고 있다. 괴담이 갑자기 러브스토리가 되어버린 건지, 그 자체가 괴담이라는 건지 이해할 수 없었다. 마취 없이 수술하는 장면이 그로테스크하다는 건가? 그다지 그로테스크하게 보이지 않는데 아무래도 이 작품은 작가 개인의 사연이 있는 작품이 아닌가 싶다.

<눈썹 없는 혼령>도 괴담같은 느낌은 주었지만 그저 평범하게 느껴졌고 <띠가 난 들판>은 그나마 좀 나은 작품이었는데 오히려 이 작품이 <외과실>의 분위기에 더 어울리는 작품 같았다. 병원이라는 곳에는 늘 이런 괴담이 있게 마련이니까. 하지만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은 작품인지라 그다지 무섭지 않았다.

괴담이 꼭 무서우리란 법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즈미 교카가 이 작품들을 쓴 시기를 생각하면 이런 작품들이 이후 만들어진 공포물에 영향을 주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우린 늘 너무 늦게 작품을 접하게 된다. 300여 편의 작품이 있는데 그 중 4편을 수록하는 거라면 좀 더 통일감을 보여주던지 아니면 독자가 좀 더 만족할만한 작품을 선보일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거기다 뜬금없이 등장하는 그림들이라니... 그림들 자체로만 보면 좋지만 작품과 하등 관계없어 보이는 그림들인지라 왜 그림을 삽입했는지도 의문이 들었다.

작가의 작품들이 현대에 잘 어필하기 힘든 작품들인지 아니면 작품들을 잘못 선택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좀 더 작품을 고르는 안목이 출판사에 있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출판사가 고른 것이 아닌지 모르겠지만. 그저 이즈미 교카라는 작가의 작품을 봤다는 것에 만족할 수밖에 없는 한 권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